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강유역의 신석기문화

이용수 414

영문명
The Neolithic Culture in North Han River Watershed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차재동(Cha Jae-Do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선사와 고대 제24집, 135~16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0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북한강유역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경기도 양평 양수리에서 합류되기 바로 전의, 즉 한강 본류가 시작되기 이전인 북한강 줄기에 형성된 지역을 말한다. 회양 蓮擡峰에서 발원하기 시작하는 북한강과, 한강 본류에 이르기 전까지 이 강과 합류되는 소양강, 홍천강, 가평천 등의 큰 지류와 수많은 작은 지류를 모두 지칭한다.
  지금까지 북한강유역에서 발견된 신석기시대의 유적은 양구군 해안면 현리유적, 화천군 위라리?거례리?용암리유적, 홍천군 하화계리 소단리?성산리?역내리유적, 춘천시 지촌리?내평리?천전리?신매리?교동?금산리?중도?칠전동?석사동?학곡리유적, 가평군 이곡리?마장리?삼회리?대성리유적, 양평군 문호리유적, 남양주시 진중리유적 등 모두 20여 곳 정도이다. 이곳에서 나타난 유적의 유형은 춘천 교동의 무덤을 겸한 동굴유적, 역내리의 움집, 춘천 내평리의 돌깐집자리유적, 그리고 나머지는 모두 지표조사나 시기가 다른 유적을 발굴하면서 찾아진 유적들이다.
  이렇게 확인된 20여 곳 정도의 유적을 통하여 북한강유역의 신석기시대 문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북한강유역의 유적이 모두 하천을 중심으로 한 낮은 구릉지나 강변대지에 자리하고 있다. 특히 춘천 중도일대는 대규모의 마을유적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홍천의 하화계리 일대는 선사시대 모든 유적이 분포하고 있어 중석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한강 최상류에서 해안 현리유적이 확인된 점으로 보아 북한강유역의 최상류지역까지 신석시시대 문화가 확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북한강유역의 생업활동은(현재 밝혀진 자료상) 물고기잡이가 비중이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북한강이라는 큰 하천과 교동?지촌리유적에서 발견된 결합식 낚시바늘, 돌그물추는 이를 입증하고 있다. 물고기잡이 외에 사냥, 채집 등의 생활이 수반되었을 것이며, 북한강유역의 환경과 발견된 대부분의 유적이 늦은 시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농경이 시작되었을 가능성도 충분하다.
  셋째, 북한강유역의 문화는 전체적으로 서해안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춘천 내평리유적과 홍천 역내리 유적 등 여러 유적에서 신석기 후기 금탄리 2식토기 단계의 동일계 가로물고기뼈무늬토기가 밝혀지고 있으며, 신석기 전?중기에 해당되는 빗금무늬 계통의 토기도 확인된다. 또한 북한강유역의 대부분 유적이 서해안지역의 후기 뾰족밑토기 특징을 갖는다는 점에서 서해안지방으로부터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어렵지 않게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춘천 교동동굴유적은 시기상 후기에 해당되는 유적이지만 동해안 지역의 특성이 보이고 있어 동해안 지역과 북한강유역의 접촉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유적이다.
  요컨대 북한강유역의 신석기문화는 정밀조사된 유적이 비록 적지만 우리나라 중서부지방, 즉 서해안문화권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으며, 교역을 비롯한 문화상의 전파관계, 생활상, 편년등 자세한 변화상은 앞으로의 조사와 연구에서 밝혀질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North Han River Watershed refers to the watershed of the North Han River before it joins with the South Han River at Yangsu-ri in Yangpyeong. It includes the Soyang River, Hongcheon River, Kapyeong Stream and other much smaller bodies of water that flow into the North Han River, which itself flows from Yeondaebong in Hweyang. Such communities as Hyeyang, Hwacheon, Yangu, Inje, Chunchon, Hongcheon, and part of Kimhwa, Namyangju and Yangpyeong county are included in this region.
  Neolithic sites have been found at about 20 sites in this area, including Haean Hyeon-ri in Yanggu, Wira-ri, Youngam-ri, Georye-ri in Hwacheon, Yeocknae-ri, Seongsan-ri, Sodan-ri in Hahwagye-ri in Hongcheon, Jichon-ri, Naepyeong-ri, Shinmaeri, Gyodong, Geumsan-ri, Jungdo, Seoksa-dong, Hakkok-ri in Chunchon, Majang-ri, Igok-ri, Samhwi-ri, Daeseong-ri in Gapyeong, Munho-ri in Yangpyeon, and Jinjung-ri in Namyangju. The finds in this area include a site in Gyo-dong in Chunchon which is both a grave and a cave site, and a stone floored dwelling in Naepyeong-ri in Chunchon. In addition, the other sites, generally pit houses, were found through field surveys or during excavations of sites of different eras.
  These 20 Neolithic sites in the North Han River area can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eolithic sites have been found on riverbanks and small hills near rivers. For instance, Jungdo Island in Chunchon shows signs of having been the site of a large village, while Hahwagye-ri in Hongchon includes relics from all periods of prehistory, and thus allows us to study the period of change from the Mesolithic to the Neolithic. As well, from the existence of Neolithic remains in the upper reaches of the North Han River at Hyeon-ri in Haean it is clear that Neolithic culture spread throughout the North Han River Watershed.
  Secondly, from the stone fish hooks and stone fishing net-sinkers it is clear that the region was dependent on fishing.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most sites have been found near streams and rivers.
  Thirdly, while this region received influence from both the east and west coasts, in the end the flat-bottomed pottery culture of the east coast in this area was absorbed by the pointed-bottom pottery culture of the west coast. Cultural development generally travels upstream, and this was clearly true of this region also. Hyeon-ri"s location near the source of the North Han River suggests cultural expansion upstream from the west coast. The fact that the site at Hyeon-ri dates from the late Neolithic also supports this theory, as does the fact nearly all the sites in the North Han Watershed have characteristics of type Ⅲ pointed-bottom culture.
  It is true that the grave-site/man-made cave dwelling at Gyodong shows the influence of the east coast. However, this site should not be connected with the bottom layer of the site at Osan-ri. Rather, it is a case of a group from the east coast flat-bottom pottery cultural zone migrating into the region and becoming absorbed into the pointed-bottom pottery culture. As can be seen from the site in Igok-ri, it is likely that there was early Neolithic culture in the North Han River. The fact that there is type Ⅱ pottery west coast culture in this region suggests that the pointed-bottom pottery culture had already expanded into this region at the middle of the Neolithic. Consequently, a group from the flat-bottom culture who migrated in from the east coast would have little chance to succeed in competition with dominant west coast culture.
  Finally, it is true that there is a limit to what can be learned from excavation at Naepyeong-ri, the partly destroyed site at Gyodong, and the field surveys. It is to be hop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region will become more clear after more excavations have taken place. However, it is the opinion of the auth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북한강유역의 자연환경과 연구현황
Ⅲ. 유적의 현황과 성격
Ⅳ. 맺음말
【參考文獻】
영어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재동(Cha Jae-Dong). (2006).북한강유역의 신석기문화. 선사와 고대, 24 , 135-166

MLA

차재동(Cha Jae-Dong). "북한강유역의 신석기문화." 선사와 고대, 24.(2006): 135-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