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주 신봉동고분군 출토 鑣轡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8

영문명
A Study of Bridle Bits in Sinbondong Tombs, Cheongju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張允禎(CHANG Yoon-Chu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선사와 고대 제24집, 367~39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0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마구는 고대 동아시아 諸지역에 있어서 각 사회의 변동과 상호교류 등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유물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고고학에 의한 연구가 왕성하다.
  그 중 한반도에 있어서 마구의 고고학적 연구는 삼국시대 분묘의 출토품을 중심으로 각 부품마다 분류가 행해지고 고구려의 벽화나 문헌도 참조해가면서 당시의 기마풍습을 복원하는 작업으로 시작하였다. 그 후 발굴조사예가 증가함에 따라 마구연구의 시점도 더욱 다양하게 진전하여 형식학적인 변화와 획기, 혹은 지역적 특색 등도 판명되기에 이르렀다. 현재 한반도 마구연구의 전체적인 경향은 北方에서 전파된 문화의 한 요소로서 마구를 취급하고 그것이 한반도 남부지역에 유입되었을 때의 계통과 확산의 문제가 주된 관심이다.
  본고에서는 신봉동고분군에서 출토된 ??를 포함하여 표비의 부품인 立聞用金具를 4型式으로 나누고 編年과 地域色을 검토하였다. 4세기대~5세기초두인 제Ⅰ기에는 부산지역과 낙동강 以西지역을 중심으로 2型式이 출현한다. 5세기전반~중엽의 제Ⅱ기에는 型式이 다양화되고 청주와 상주 두 지역이 중심을 이룬다. 前者는 前段階부터 부산지역과의 교류를 가지면서 여러 가지 기술 계통이 공존되면서 형식을 창출하는 것에 비해 後者는 單一형식을 유지하여 보수적?폐쇄적인 면을 보인다. 5세기후반~6세기대의 제Ⅲ기에는 前段階에 비해 立聞用金具의 수가 감소하고 상주지역을 중심으로 하나의 型式이 지속적으로 성행하였다.
  이러한 立聞用金具의 분포상황은 지역적 변동이 보이는데, 이는 한반도에 있어서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라는 諸정치세력간의 관계변화에 連動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Horse trappings had been studied vigorously in archaeology, which supported important index among various materials to show up the social changes and interchange in ancient east-asia area.
  Especially in Korea, archaeological studies on horse equipments had been focused on a classification of excavated articles in Three Kingdom Period"s graves. With reference to mural paintings in Goguryeo and records, scholars had been started to build up the horse-riding custom of its age. With increasing to excavations, various view points had been proposed. With this researches turned out the chronological changes and landmarks or the regional characters. General tendencies on horse equipment researches in Korea were considering as spreading one of Northern cultures. Its origin and diffusion problem were a main issue when it flowed in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n this paper, the author classified the four-types Metal Pieces which is fastening the bit of headstall including bridles in Sinbondong tombs. In addition to be examined their chronology and regoinality. In(or that) result, It showed up two types in Busan area and the west side of the Nakdong river in the StageⅠ(from the 4th to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A.D.). An amount of much showed up the area of Cheongju and Sangju, which type was diverse in the Stage Ⅱ (from the early to the middle 5th century A.D.). The type of Cheongju area produced new types from various different technology-origins through interaction of Busan area from Stage Ⅰ. Sangju area turned out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as conserving single technical origin. In the Stage Ⅲ (from the late 5th to the 6th century A.D.), the total number of Metal Pieces decreased comparing to Stage Ⅱ. Sangju showed up single type continuously.
  With this results, the author considers that we found regional differences considering to distributed ranges of Metal Pieces, which simultaneously linking together with the changes of the relationship among all political power of Koguryeo, Paekche, Silla and Kaya inside KOREA.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鑣轡에 대한 硏究史와 問題點
Ⅲ. 鑣轡의 型式分類
Ⅳ. 鑣轡의 編年
Ⅴ. 鑣轡의 변천과 지역적 특색
Ⅵ. 맺음말
【參考文獻】
영어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張允禎(CHANG Yoon-Chung). (2006).청주 신봉동고분군 출토 鑣轡에 관한 연구. 선사와 고대, 24 , 367-395

MLA

張允禎(CHANG Yoon-Chung). "청주 신봉동고분군 출토 鑣轡에 관한 연구." 선사와 고대, 24.(2006): 367-3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