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羅王京地域 出土 古代木炭窯와 關聯記錄 檢討

이용수 156

영문명
Investigation on Ancient Charcoal Kiln in Silla Capital Area and Records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김호상(Kim Ho-Sang) 황보은숙(Hwangbo Eun-Suk)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선사와 고대 제24집, 471~49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木炭은 古代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류생활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물품으로 특히 고대사회에서는 철기제작과 관련되어 더욱 중요한 에너지원이 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0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목탄요가 발굴조사 된 이후 목탄요에 관한 연구는 고고학적인 연구에만 한정되어 목탄의 생산, 관리, 사용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압도적인 수량의 목탄요가 조사된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문헌, 금석문자료 및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목탄관련 기록을 고찰하여 보았다.
  고찰결과 첫째, ??삼국유사??탈해왕과 관련된 설화에서는 석탈해가 스스로 자기의 집단을 야장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신라 9대 벌휴왕에서 16대 흘해왕에 이르는 신라의 석씨집단은 한국고대에 있어서 제철과 관련된 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삼국사기??에 新羅全盛時 王京內에 거주하는 가옥에서는 모두 木炭으로 밥을 짓는다는 記錄이 있어 대규모적인 목탄사용에 따른 생산유통관계를 관리하던 官廳과 관리인으로 추정되는 ?豆呑炭典 看翁一人?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신라시대에는 특히 寺院에 조성된 佛像과 鐘 주조에 대규모의 목탄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목탄의 생산지역과 관련된 지명 등이 있음을 추정하여 보았다.
  넷째, 목탄관련 금석문으로는 海印寺 妙吉祥塔碑에 목탄 80석이 탑비를 건립하는데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고구려 고분벽화 중 오회분 4호묘에 나타난 단야신의 그림에서 단야시설에 목탄이 묘사되지는 않았지만 7세기에 제철관련 작업공정에는 목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Charcoal has been the most generally used heat energy source from ancient times until today. But, despite ancient charcoal kiln excavated in 1994 it has been not worked up the producing, managing, using of charcoal until now except archeological study. Consequently, this paper tries to study the records and epigraphes about charcoal focused on Gyoengju area where has most of excavated charcoal kiln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irst, king of Seoktalhae called his group as blacksmith by himself on ??Samkukyusa?? we can realize that Seoktalhae"s family was iron manufacturing group in ancient Silla.
  The second, the record, people in Silla capital city boiled rice with charcoal, on ??Samkuksaki?? informs us that Silla had the government office and administrator related to charcoal producing system.
  The third, they revealed that charcoal was used for iron Buddhist image and Buddhist bell manufacturing.
  The fourth, we can find the record that charcoal was related to the produce of pagoda on Myokilsangtapbi of Haein Buddhist Templ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목탄요 연구현황
Ⅲ. 신라왕경 소재 목탄요 발굴현황
Ⅳ. 목탄관련 기록 검토
Ⅴ. 맺음말
【參考文獻】
영어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호상(Kim Ho-Sang),황보은숙(Hwangbo Eun-Suk). (2006).新羅王京地域 出土 古代木炭窯와 關聯記錄 檢討. 선사와 고대, 24 , 471-493

MLA

김호상(Kim Ho-Sang),황보은숙(Hwangbo Eun-Suk). "新羅王京地域 出土 古代木炭窯와 關聯記錄 檢討." 선사와 고대, 24.(2006): 471-4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