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扶餘 陵寺 第3建物址(일명 工房址Ⅰ)의 建築考古學的 檢討

이용수 193

영문명
Architectural and Archeological Review of the 3rd Building Site (So-called Workship Site I) of Royal Tomb Temple in Buyeo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趙源昌(Cho Weon-Cha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선사와 고대 제24집, 397~41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0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여 능사는 관산성 싸움에서 억울하게 죽은 聖王을 기원하기 위해 창건된 사찰이다. 기원사찰이라는 점과 그 공양주가 왕실이었다는 점에서 어떠한 건물유적 보다도 중요성이 크다. 아울러 東나성(동쪽의 나성) 너머에 위치하고 있는 능산리왕릉과 近거리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守墓處(무덤을 보호, 관리해 주는 곳)의 가능성이 적지 않다.
  3건물지에서는 청동제련과 관련된 청동덩어리를 포함하여 많은 슬래그와 배연구, 굴뚝, 철부, 철촉 등이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유물이나 유구와 성격을 달리하는 灰色土器, 黑色瓦器, 벼루, 삼족토기 등의 유물도 출토되었다. 특히 청동 제련과 관련된 배연구와 건물지 벽체 하부시설인 고멕이는 서로 중복된 채 확인되었다.
  이러한 내용들은 유물의 성격상 혹은 건축고고학적인 측면에서 언뜻 이해하기 어렵다. 이는 결과적으로 3건물지를 중심으로 시기를 달리하는 별도의 유구 즉, 공방시설이 존재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기차는 한편으로 3건물지 주변의 서배수로, 강당지 서쪽 불명 건물지, 東회랑 주변 등에서 검출되는 백제 멸망 이후의 印花文土器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Royal Tomb Temple in Buyeo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supplicating King Seong who was victimized to his chagrin at the Gwansan Castle battle. As compared to other remains in the form of building, this temple has the most significance from the point that it is a temple established for supplication and the donator of the alms to the temple was royal family. And also as it is located in near distance from Neungsan-ri Royal Tomb located over Na Castle in the east,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the temple might have the responsibility of taking care of Royal Tomb.
  From the 3rd building site, many pieces of relics related to bronze refining such as many slags, smoke exhaust pieces, chimneys, iron axes and iron arrow-heads including the mass of bronz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o these items, also the relics such as grey earthenware, black roof-tile wares, ink-stones and three-lets earthenwares excavated, which were different in terms of relic districts and characteristics from the above remains. Expecially smoke exhaust pieces related to bronze refining and support stones which were the lower part facilities for walls at the building site were overlapping each other when they were found.
  These contents are not easy to understand from the aspect of characteristics of the remains or from architectural and archeological aspect. This may eventually mean that the districts with separate relics from different ages, i.e., workshop facilities were existed centering around the 3rd building site.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the age seems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arthenwares with stamped decoration after the collapse of Baikje which were excavated in the drainage route in the west around the 3rd building site, a unidentified building site in the west of a lecture hall site and surrounding area of eastern passag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능사 가람배치
Ⅲ. 제3건물지의 건축학적 검토
Ⅳ. 7세기대 고고유물로 본 제3건물지의 기능 변화
Ⅴ. 결론
【參考文獻】
영어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趙源昌(Cho Weon-Chang). (2006).扶餘 陵寺 第3建物址(일명 工房址Ⅰ)의 建築考古學的 檢討. 선사와 고대, 24 , 397-416

MLA

趙源昌(Cho Weon-Chang). "扶餘 陵寺 第3建物址(일명 工房址Ⅰ)의 建築考古學的 檢討." 선사와 고대, 24.(2006): 397-4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