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後期 書藝論의 一局面 -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을 中心으로

이용수 100

영문명
The study on aspect of Calligraphy Theory in chosun latter dynasty: the case of Lee Gwang-sa, Gwang See-hwang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최경춘(Choi Kyeng-chun)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21집, 249~28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8.0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朝鮮後期 書壇에 등장한 주목할만한 書論은 당대까지 유행해 오던 松雪體나 石峯體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書論을 전개한 서가로는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을 들 수 있다. 이들은 脫俗的이고 審美的 的인 趣向의 서체를 追求하였으며 모두가 왕희지의 書法을 표준으로 삼아서 학습하였다. 그 중에서 李匡師는 董其昌의 서법을 개성화시켜 圓嶠體를 창안하였고, 姜世晃은 米?과 趙孟? 서법을 가미하여 豹菴體를 창안하였으며, 金相肅은 鍾繇의 서법에 경도되어 稷下體를 창안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의 書論에서 李匡師는 規矩의 外形의 模寫를 통해 創新에 이르는 길, 즉 ‘法古’를 통한 ‘創新의 길’을 역설하였는바, 臨書는 철저하고 精密히 해야 하며 법첩에 내포된 서가의 뜻과 기상을 파악하여 이를 자유롭게 파악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르면 단순한 形似에서 벗어나 創新에 이른다는 法古創新論이다. 그리고 姜世晃은 글을 쓸 때 得心應手하는 마음의 자세를 갖추고, 고인의 글씨를 대할 때 먼저 그 神韻을 터득해야 함을 강조하여 形似를 하되 그 외형에 집착하지 않고 궁극적으로 그 形 속에 들어있는 神韻을 체득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僞作法帖을 임모하는 弊端을 극복하기 위한 그 대안으로 古人 書의 眞意를 담고 있는 가까운 시대의 書를 학습하는 神韻 중시의 臨書探古論을 설파하였다. 金相肅은 書家의 마음속에서 우러나는 筆劃을 중시하여 筆才의 高下를 막론하고 작가의 마음에서 배태된 心劃이 있어야하며, 바람직한 心劃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을 바르게 하여야하며 정밀하고도 부단한 학습을 통하여 작가의 내면세계가 서론을 통해 온전히 전달되는 경지에 일러서야 서법이 완성된다고 주장하여 心劃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手隨心運論을 전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development of calligraphy style and theory in chosun latter dynasty, especially the theories of Lee Gwang-sa, Gwang Sei-hwang and Kim Sang-suk who took an unique approach to that. All their contemporary calligraphers were in pursuit of unworldly and aesthetic style instead of uniform Songseokche or Seokbongche that were widespread in the preceding generation, and they tried to study in accordance with Wang Hui-ji"s Beopcheop. Specifically, Lee Gwang-sa created Weongyoche by making Dong Gichang"s calligraphy more unique, and Gang Sei-hwang created Pyoamche by mixing the calligraphy of Mibul and Jo Mang-bu. Kim Sang-suk created Jikhache under the influence of Jong Yo.   Lee Gwang-sa suggested how to attain Changshin(creation) through Gyugu"s Hyeongsa(resemble a form), and he put stress on the way of Changshin(creation) through Beopgo(tradition). And he advocated Euigi (spirits) and Beopgochangsinron(the theory of creation through tradition), claiming that Imseo(calligraphy which he or she copies) should be perfect and precise and one could achieve Changshin(creation) by making a liberal stroke. Gang Sei-hwang argued that one should put his or her focus on the heart and acquire the Shinwun(a spirit within mystery and high-mindness) of others" calligraphy instead of concentrating only on external shape. And he advocated Shinwun(a spirit within mystery and high-mindness) and Imseotamgoron(the theory of study through calligraphy which he or she copies), stressing the acquisition of calligraphy in the possible near past as a means to root out the evil impacts of fraud Beopcheop(a book for calligraphy which he or she copies). Besides, Kim Sang-suk placed an emphasis on heartfelt calligraphy. He believed that everybody should acquire Simhoik(a spiritual stroke), even if it"s not perfect, and he additionally advocated Sususimwunron(the theory of calligraphy skill follows a spiritual stroke), stating that calligraphy could be complete by making a heartfelt and accurate effort to express what it mean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書風의 諸樣相
Ⅲ. 書論의 特徵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경춘(Choi Kyeng-chun). (2005).朝鮮後期 書藝論의 一局面 -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을 中心으로. 동양한문학연구, 21 , 249-281

MLA

최경춘(Choi Kyeng-chun). "朝鮮後期 書藝論의 一局面 - 李匡師, 姜世晃, 金相肅을 中心으로." 동양한문학연구, 21.(2005): 249-2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