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佛家의 喪禮와 僧喪服圖

이용수 297

영문명
Funeral ceremonies of Buddhism and mourning chart of priests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金純美(Kim Soon-Mi)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21집, 33~6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8.0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상복제도는 유가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석씨요람??과 ??선원청규??를 보면 불교에서도 오랜 전부터 시행이 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승상복제도는 중국에 들어온 불교가 민중들 속으로 뿌리내리기 위해 속례와 습합하는 과정에서 생긴 것이다. 이것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더 구체화된 것은 우리 민족의 정서에 맞게 재조정된 것으로 17세기 유가의 예학이 활발하게 논의되는 분위기에 힘입은 것이다. ??석문상의초?? ??석문가례초?? ??승가예의문?? ??다비작법??과 같은 책에서 승상복도를 통해 이런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동안 고려 말 조선 초의 예학은 모두 ??주자가례??로 시작하여 그곳으로 귀결되는 것으로 논의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그것을 준수하는 상위계층은 일부에 불과하고 이를 제외한 더 많은 서민들은 속례를 따르고 있었다. 속례는 불가의 예제와 유사한 점이 있기 때문에 승상복도를 통해 단편적인 속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17세기라는 같은 시기에 각기 다른 승상복도가 등장하는 것은 강제적으로 법제화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불가에서 속례를 종교의식으로 포섭하여 포교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데 많은 고민이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이것은 각 종파를 조직화, 계열화하는 문제와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re is not mourning system only in a Confucian. Can know long that was enforced ago in Buddhism if see A survey of Buddhist monk ??釋氏要覽?? and The rules of the temple ??禪院淸規??. mourning of priests is that Buddhism that enter in the China occurs in process that is united with convention. To become entering in our country detailed is to be reseted according to emotion of the nation. 17th century Confucianism effect was here. Can watch mourning of priests in sukmunsangeicho ??釋門喪儀抄??, sukmunkalycho ??釋門家禮抄??, sungkalyeimun ??僧家禮儀文??, dabizakbep ??茶毘作法?? and know this contents.   during that time the last period years Goryeo an early period years Chosun Yehak was discussed that is ended there beginning with all Juhuis" etiquette of a family. But, high-class that keep it is not more on some, and more peoples except these were depending on convention. Because convention is point similar system of Buddhist family rituals, can know form of fragmentary convention through mourning chart of priests. But, because it was no coerciveness that different mourning chart of priests appears on same time that is 17th century. There were a lot of agonies though equalize rituals with convention to propagate to peoples in Buddhist family. Also, this each main branch of a family organization, regularity do with knowing problem connect.

목차

국문초록
Ⅰ. 시작하는 말
Ⅱ. 佛家에서 죽음의 意味와 喪禮
Ⅲ. 僧喪服圖의 內容과 意味
Ⅳ. 僧喪服圖의 變改樣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純美(Kim Soon-Mi). (2005).佛家의 喪禮와 僧喪服圖. 동양한문학연구, 21 , 33-66

MLA

金純美(Kim Soon-Mi). "佛家의 喪禮와 僧喪服圖." 동양한문학연구, 21.(2005): 33-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