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惺臺 權丙勳의 反切隱義法 硏究

이용수 118

영문명
A study on the Banjeol Eunui rule of 「Yukseosimwon」 of Seongdae Gwon Byeong-Hun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河水用(Ha Su-Yong)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동양한문학연구 제21집, 313~34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8.0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六書尋源?은 惺臺 權丙勳의 編述한 字典類이다. 이 책에서 惺臺는 여러 가지 字典類, 韻書類를 함께 통합하고, 또한 자신의 문자학적 소견까지 개진함으로써 字典類, 韻書類 및 漢字學書를 겸한 大著라고 할 수 있다. 鄭寅普는 敍文에서 惺臺의 주된 한자학 이론으로 隱義說(또는 隱義法), 贅?說이 그 특이한 점이라 하였다. 그러나 ?六書尋源?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는 한자의 聲符에 대한 연구를 깊이한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聲符를 正音 終聲으로 陽聲韻, 入聲韻, 陰聲韻으로 나누었고, 聲符에 의하여 파생되는 단계를 드러내고 깊이 연구하였으며, 또한 聲符가 表音, 表義에도 작용하는 것을 隱義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隱義法은 중국의 王子韶(字聖美)가 주장한 右文說과도 거의 비슷한 학설이지만 右文說보다 오히려 범위가 넓으며, 또한 어원의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音의 역할을 하는 반절을 이용하여 被切字의 표음과 표의를 나타내려고 하였다는 점이 매우 특이한 학문적 양상이라 할 수 있다.   惺臺의 隱義法의 樣相은 세 가지로 大別할 수 있다. 첫째 諧聲字 聲符가 聲과 義를 가지고 表音 및 表義에도 相互作用을 할 때의 聲符의 字義를 隱義라고 하였다. 둘째 이 字로 저 字의 字義를 해석하는 성훈법이 있는데 그 바탕은 기본적으로 雙聲, 疊韻 또는 相近音을 이용하여 被訓釋字의 字義를 설명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고대로부터 사용된 방법이다. 그러나 惺臺는 기존의 성훈법과는 약간씩 다른 데 聲訓하였다. 셋째 ?音기능만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반절에도 惺臺는 被切字의 字義를 가지는 반절로 나타내려고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는 反切隱義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反切訓이라고도 할 수 있다.   반절의 기본적인 기능은 字의 음을 표기해주는 것이다. 방법은 성훈법은 하나의 자로 훈석을 하는 경우이지만 반절은 두 자 즉 反切上字와 反切下字를 이용하여 反切上字는 聲을 反切下字는 韻을 나타내는 전통적인 ?音法이다. 이러한 관계로 반절은 ?音機能만 강조되고 별다른 기능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惺臺는 이러한 반절에도 被切字의 자의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색출하여 따져보고 반절을 이용해서 訓?學에 서 사용하는 방법을 가미하여 반절이 被切字의 자의, 자형, 자음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게 하여 반절만 알면 被切字의 자형과 자의를 알 수 있는 反切隱義法(또는 反切訓)을 연구하였다는 점이 특색이다.   訓?學에서 주로 사용하는 訓?方法은 形訓法, 聲訓法, 義訓法 등을 주로 사용한다. 形訓法은 字形에 근거하여 字義를 해석하는 것이며, 聲訓法은 聲音을 바탕으로 서로 관련 있는 字로 訓釋하는 것이며, 義訓法은 직접 字義를 설명하는 방법이다.   惺臺는 이러한 訓?法과 聲訓法 및 反切法을 결합하는 방법을 시도한 것이 聲訓法과 反切隱義法의 주요 대강이다. 聲訓法은 이미 많이 알고 있는 방법이지만 反切隱義法은 새로운 訓?方法이라 할 수 있다. 첫째 反切加訓의 경우이다. 反切加訓은 被切字의 자의와 관련 있는 자를 사용하여 표음과 훈고를 하는 방법이다. 둘째 自體反切 隱義法의 경우는 被切字가 가지고 있는 자형을 이용하여 反切을 붙이고 訓?도 하는 방식이다. 셋째 依形反切은 사례가 많이 들지는 못했지만 被切字의 자형 중 일부의 획을 이용하여 반절을 붙이고 훈고도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반절은의 법이란 용어를 사용하여 보았다. 反切隱義法은 기본적으로는 ?音機能이 主이기 때문에 聲訓法의 하나라고 할 수 있으나 자의를 가진 두 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성훈법의 범주 속에 분류하기도 어렵다. 또한 자형으로 반절을 ?音한 경우는 形訓과도 관련이 있으므로 形訓이라 할 수도 있으나 형훈은 병음의 기능을 갖지 않는 방법이므로 형훈의 범주 속에 넣기도 어렵다. 그리고 반절은 被切字의 자의를 가지니 의훈이라고도 할 수 있겠으나 의훈도 병음기능은 갖지 않는 방법이므로 의훈의 범주에 넣기도 어렵다. 따라서 惺臺의 반절은의법은 훈고방법 중 새로운 하나의 방법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물론 많은 문제점과 반절을 붙이는 실제에 있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겠으나 분명한 것은 한자를 병음과 훈고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손색이 없다는 점에 있어서 惺臺의 反切隱義法(또는 反切訓)을 학문적으로 인정해야 함이 타당하다고 본다.   惺臺가 反切加訓, 自體反切, 依形反切 등에 사용한 훈고에 사용한 방법들은 다양하다. 字義를 이용한 것, 字形을 이용한 것, 事物現象을 이용한것, 字形兼現象을 이용한 것, 字形과 五行說을 이용한 것 등의 훈고방법을 사용하여 훈석하였다. 反切隱義法을 살펴본 결과 反切隱義法의 문제점을 지적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聲韻學에 정통하지

영문 초록

  ?Yukseosimwon? is a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edited by Seongdae Gwon Byeong-Hun. In the book, Seongdae integrated several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and Chinese pronunciation dictionaries and added his own opinions on the science of Chinese characters. Thus the book is regarded as a great work as a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Chinese pronunciation dictionary and technical book on the scienc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preface, Jeong In-Bo pointed out Eunui theory(or Eunui rule) and Chwehoik theory as peculiar points in Seongdae’s theories on the science of Chinese characters. However, when we examine ?Yukseosimwon? closely, we can find that he made a deep research on the sound elements of Chinese characters. In particular, he divided sound elements into regular sounds and final consonants as well as into Yangseong-un(ryhme), Ipseong-un(ryhme) and Eumseong-un(ryhme), and thoroughly examined the steps of derivation from sound elements. In addition, he used the term Eunui to explain the work of sound elements on phonetic and ideographic representations. Eunui rule is almost identical with Umun theory advocated by Wang Ja-So(Ja seongmi) in China, but it is wider in scope than Umun theory and is a very etymological theory. Furthermore, it is a very remarkable scientific attempt to make the phonetic and ideographic representation of Pijeol-ja using Banjeol that plays the role of Byeongeum.   The patterns of Seongdae’s Eunui rul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when the sound element of Haeseong-ja has sound and meaning and it interacts with phonetic and ideographic representation, the meaning of the sound element was called Eunui. Second, there was Seonghun rule that interprets a character as the meaning of another character and this method explained the meaning of the translated character using Ssangseong, Cheopun or Sanggeuneum. This method had been used from ancient times. However, Seongdae did Seonghun slightly differently from previous Seonghun rule. For Banjeol that is known to have only the Byeong-eum function, Seongdae tried to represent with Banjeol with the meaning of Pijeol-ja. This case can be regarded as Banjeol Eunui or Banjeol-hun.   The basic function of Banjeol is to mark the sound of characters. Seonghun rule marks the meaning using a character, but Banjeol is a traditional Byeong-eum method using two characters, namely, Banjeolsangja and Banjeolhaja, marking the sound with Banjeolsangja and the rhythm with Banjeolhaja. For this reason, only the Byeong-eum function had been emphasized and no other particular function had been found. However, Seongdae researched on Banjeol Euneui method (or Banjeolhun) by looking for Banjeol with the meaning of Pijeol-ja and adding a method of using Banjeol in annotation so that Banjeol had the functions of the meaning, shape and sound of Pijeol-ja compositely and, if one knew Banjeol, he could know the shape and meaning of Pijeol-ja.   Annotation methods commonly used in exegetics were Hyeonghun rule, Seonghun rule, Euihun rule, etc. Hyeonghun rule interpreted the meaning of characters based on the shape of the characters, Seonghun rule translated into interrelated characters based on sound, and Euihun rule directly explained the meaning of characters.   The key point of Seonghun rule and Banjeol Eunui rule is the attempt to combine these annotation methods, Seonghun rule and Banjeol rule. Seonghun rule had already been known widely but Banjeol Eunui rule was a new annotation method. First, Banjeol Gahun represents sound and meaning using characters related to the meaning of Pijeol-ja. Second, Jache Banjeol Eunui rule adds Banjeol and annotates using the character shape of Pijeol-ja. Third, Euihyeong Banjeol does not have many examples but it adds Banjeol and annotates using part of the character shape of Pijeol-ja. This method was named Banjeol Eunui rule in this study. Becaus

목차

국문초록
Ⅰ. 序論
Ⅱ. 漢字表音方法의 衍進
Ⅲ. 字義의 解釋方法
Ⅳ. 惺臺의 反切隱義法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河水用(Ha Su-Yong). (2005).惺臺 權丙勳의 反切隱義法 硏究. 동양한문학연구, 21 , 313-348

MLA

河水用(Ha Su-Yong). "惺臺 權丙勳의 反切隱義法 硏究." 동양한문학연구, 21.(2005): 313-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