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교육에 있어서 회화 표현에 관한 연구 - 관념적 관찰과 표현의 개선을 중심으로 -

이용수 329

영문명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Painting in Art Education -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Ideological Observation and Expression -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임정기(Im Jeong-Ke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1호, 339~379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0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회화 표현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표현의 일반화된 과정을 설명하는데서 끝나지 않아야 한다. 학생들이 표현 과정에서 쉽게 적응하지 못하는 원인을 찾아 해소해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시각적 경험에 주로 의존하는 회화 표현에 있어서 시각적 특성의 이해와 시각과 표현의 관계를 파악해 봄으로써 근원적인 회화 표현 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다. 표현력이 부족한 것은 사물에 대한 올바른 지각방법의 부족에서 출발 한다. 우리는 관찰에 의하지 않고 대상에 대하여 이미 알고 있는 일반화된 사물을 보는 경향이 있다. 대상을 새롭게 지각하기 위해서는 일반화하여 보는 관념적인 시각을 탈피해야 한다. 형태와 색채를 관념적으로 보지 않고 새롭게 보고 새롭게 표현하기 위해서 공간적 기능을 지배하는 오른쪽 두뇌를 활성화시켜 주어야 한다. 오른쪽 두뇌의 활용에 의하여 형태와 색채의 변화를 집중하여 보고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o provide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expressing painting, we shouldn't stop describing the generalized process of expression. We should find out the way of solving that cause of the students can hardly adjust themselves to the process of expression easily. We can research the original method of expressing painting on condition that we should find out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vision and the relation between vision and expression. The poor expression of painting originated from the lack of correct way of observation. We tend to perceive an object by memories not by real observation. We must exclude an ideological point of view in order to perceive an object in new way. For the new ways of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shape and color, we should activate the right side of the brain which dominates the spatial function. I will show you the effective way of expression with concentrating on the variation of shape and color using the right side of the brai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회화 표현의 특성과 과정
Ⅲ. 시각과 표현의 관계
Ⅳ. 회화 표현 지도 방법의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정기(Im Jeong-Kee). (2004).미술교육에 있어서 회화 표현에 관한 연구 - 관념적 관찰과 표현의 개선을 중심으로 -. 미술교육논총, 18 (1), 339-379

MLA

임정기(Im Jeong-Kee). "미술교육에 있어서 회화 표현에 관한 연구 - 관념적 관찰과 표현의 개선을 중심으로 -." 미술교육논총, 18.1(2004): 339-3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