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미술교사들의 미술에 대한 신념 연구

이용수 283

영문명
Pre-service Art Teachers' Beliefs toward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황기(Kim Hwang-Ge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1호, 31~5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기본적 가설은 교사의 신념은 교사의 인식과 의사 결정 과정에 그리고 그 결과로 교수방법 및 학생들의 학습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미술에 대한 교육적 신념은 무엇이고, 그 신념에 3가지 변인들(학년, 미술교육 전공여부, 교육실습 여부)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문제 1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 미술교사들은 창조주의 교육과정과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개념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예비 미술교사들은 작품제작 위주의 미술교육을 선호해, 초등 교사들과 같이(김황기, 2002) 창조주의의 주요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리차드슨(1982), 애덤스(1980)의 연구와는 일치하나, 초등 교사들이 작품중심의 아동중심 미술교육의 개념을, 중등 미술교사들이 학문중심 미술교육개념을 가지고 있다는 토번(1981)의 연구와는 대비된다. 연구문제 2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술전공 여부와 통합적 또는 보조적 미술교육의 활용에 대한 신념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육실습 여부와 통합.보조적 미술교육, 실기위주 미술수업, 절대기준에 근거한 커리큘럼 작성, 미술지도가 창의력 저해, 창의적 표현 권장이 교사의 책임 등 5가지 신념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교수의 실제와 관련된 경험은 교수와 관련된 개념을 형성하는데 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학이나 교과교육보다 더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브로소, 북, 바이어스(1988)와 페인먼 넴서(1983)의 연구와 일치한다.

영문 초록

Pre-service art teachers' beliefs about art education influence their perception and decision-making, which, in turn, affect their ways of teaching and students' learning. For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effective teaching and instructional practice, pre-service art teachers' beliefs and variables which affect pre-service teachers' beliefs were investigated. First, pre-service art teachers agreed with both of Child-centered approach and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emo-graphic groups: pre-service art teachers' first major according to the approach of integration and support; pre-service art teachers' practicum according to the approach of integration and support, production-centered approach, curriculum based on typical level, prohibition of creativity by instruction, and teachers' role as encouragement of creativ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pported by researchers(Brousseau, Book & Byers, 1988; Feiman-Nemser, 1983) in teacher education who have made the same conclusion that experience in teaching is more powerful in building concepts of teaching than formal pedagogical or subject matter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황기(Kim Hwang-Gee). (2004).예비 미술교사들의 미술에 대한 신념 연구. 미술교육논총, 18 (1), 31-52

MLA

김황기(Kim Hwang-Gee). "예비 미술교사들의 미술에 대한 신념 연구." 미술교육논총, 18.1(2004): 3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