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과 과학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과목 개발에서 미술 교육의 역할

이용수 175

영문명
Visual Thinking and Self-expression of Art Education about Basic Subject Development that Integrate Art and Science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신현경(Shin Hyun-Kyou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1호, 53~7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0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미술과 과학을 접목한 대학 기초 교과목 개발에서 미술 교육의 역할을 시각적 사고와 자기표현에 두고 있다. 본론은 글의 제목에서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영역의 개념들을 정리하고, 미술과 과학이 협동해서 작업한 사례를 들었다. 그리고 본론에서 다루고 있는 다양한 영역은 다섯 가지로 나누었다. 그 중에서 첫째는 다양한 영역들의 종합을 위한 시각적인 사고체계이다. 둘째는 미술과 과학의 기초에 대한 개념으로 관찰, 즉 시각적 인식을 공통분모로 보고 있다. 셋째는 새로운 시각 문화 환경에서의 미술과 미술교육에서의 역할을 명확하게 분리한다. 네째는 미술 교육에서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특수 교육과 일반인을 위한 교양 교과로서의 기초 교육으로 구분하고, 기초 교육으로서 미술의 역할을 자기 표현에 두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섯번째는 학문들 간의 연계로 인한 학제적 성격에 대한 개념들을 정리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 정리를 통하여 미술 교육의 역할은 시각적 인식에 의한 시각적 사고의 훈련에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시각 훈련을 통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시각 훈련은 개인의 창의성과 자기 표현력, 그리고 다원주의로 직결되며 이러한 관점을 기초 교양 교과로서 BBVE의 우뇌 개발에서 찾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r the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subject, arranges various areas laying stress on visual thinking, self-expression, and the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development of fundamental subjects graft together art and science. First, a general and visual thinking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various areas is explored. Second, as a concept for foundation of art and science, it is assumed as a common denominator that anyone can display creativity of art and science through observation. Third, sight training, creativity, and self-expression in art and art education in a new visual culture environment, have different meanings, but are assumed to be in the same context because they are linked to one another. Fourth, art education is divided into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for expert training and cultural education as a primary subject for ordinary people, and it is assumed that the role of art as a primary subject is self-expression. Finally, the concepts of interdiscipinary studies and cooperation process are discussed. The goal of this writing is to search for a visual thinking system that can integrate multiple concepts that are intricately mixed together. So, the role of art, in general, is to train to ‘Se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현경(Shin Hyun-Kyoung). (2004).미술과 과학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과목 개발에서 미술 교육의 역할. 미술교육논총, 18 (1), 53-78

MLA

신현경(Shin Hyun-Kyoung). "미술과 과학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과목 개발에서 미술 교육의 역할." 미술교육논총, 18.1(2004): 53-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