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수화 화면형식과 구도법의 활용에 대한 연구

이용수 275

영문명
Study about the Form of a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and Use of a Composition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장지성(Jang Ji-Seo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1호, 283~30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0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통미술교육은 전통문화의 이해에 그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를 위해 전통미술의 여러 부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전통미술의 중요한 영역 중에 하나인 산수화가 전형적인 화면형식과 구도가 전통적으로 하나의 틀로써 구성되어지고, 이어져 온 것은 단순히 화면형식과 구도의 다양한 변화라는 부분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산수화의 사상적인 배경, 전통적인 생활환경이나 산수화를 선호하고 즐겼던 감상자의 기호에 의해 구축된 것이다. 따라서 산수화의 전형적인 화면 형식과 구도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표현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다면, 전통회화의 표현방식과 내용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서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전통문화의 이해’라는 측면에 부합하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이 글에서는 산수화의 화면 형식 중에 대표적인 네 가지의 화면형식과 이에 따른 구도법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While teaching the techniques of traditional painting, we should focus on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culture. For that purpose, various contents and programs which can be used for traditional painting in different ways should be developed. How the entire form and the composition of landscape painting in the traditional painting could be harmonized as the frame of the picture was not only by many changes of a form and a composition. Basically, this tendency was established by some factors such a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 landscape picture, traditional life style and the taste of an art lover who enjoyed making a landscape picture and appreciating it. Therefore, if we understand the typical forms and composition of landscape painting and if we can use this knowledge we also would understand better how to create a picture in traditional ways and how to express its spirit. Through education we think that we can develop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rt’ which is required for the art education course. Thus, in the study, we consider the four representative painting forms out of many forms of landscape painting and the possibilities of a right composition when we create a landscape pictur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산수화의 전형적인 화면형식과 구도법이 나타나는
Ⅲ. 화면 형식과 그에 따른 구도
Ⅳ. 산수화의 화면형식과 구도의 활용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지성(Jang Ji-Seong). (2004).산수화 화면형식과 구도법의 활용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18 (1), 283-308

MLA

장지성(Jang Ji-Seong). "산수화 화면형식과 구도법의 활용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18.1(2004): 283-3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