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7차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연구
이용수 154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Visual Art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소영(Park So-You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1호, 123~1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7차 교육과정이 표방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다양하고 특성화된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이 미술 교과에서는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를 파악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제7차 국가 수준의 미술과 교육과정이 시·도 및 지역 교육청, 단위 학교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수준에 맞게 다양화·특성화되어 편성된 사례들을 문서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고, 미술 수업 관찰 및 면담, 교사 협의회를 통해 다양화·특성화된 운영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미술과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위해 미술과의 편성·운영 과정에서 보완해야 할 방안과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daptive process and reality of the visual art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t examined the process and procedure in what ways the national visual art curriculum has bee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at the local boards of education level, school level, and class level. For this, class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are conducted in two criteria such as the degree of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visual art curriculum. Data from multiple collection methods a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alysis. The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are described in the four elements(objective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7th national visual art curriculum at elementary school level. Consequently, the two characteristics are relatively founded on the visual art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Conclusively, it is provided teachers, the school administrators, and policy makers with relevant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visual art curriculum reorganiz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제7차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체제
Ⅲ.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의 분석 대상 및 준거
Ⅳ. 제7차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과 과학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과목 개발에서 미술 교육의 역할
-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미술수업이 중학생의 조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공업계 고교 디자인 교과서 분석 연구
- 범주교육의 역사와 그림해석으로서 범주화(Ⅰ)
- 학생의 사회성 결여 현상에 따른 학교환경 내 집단미술치료 도입에 관한 연구
- 제7차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연구
-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ICT 적용과 활용 방안
- 미술교육에 있어서 회화 표현에 관한 연구 - 관념적 관찰과 표현의 개선을 중심으로 -
- 산수화 화면형식과 구도법의 활용에 대한 연구
- 신교육사회학의 학교문화에 대한 논의와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 교과서 분석
- 아동화에 나타난 도식의 출현과 소멸
- 미술관 교육의 이론과 실제 - 국립현대미술관의 『청소년을 위한 현대 미술 체험 교실』 -
- 미술 감상·비평 학습에서 발문에 관한 연구
- 초·중등 미술교육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 미술교사 교육을 중심으로 -
- 예비 미술교사들의 미술에 대한 신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4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목차
- 디지털 시대 한국 시각장애인의 보행 경험 개선을 위한 테크놀로지 방향성 연구
- 제품, 서비스, XR에서의 경험디자인 - 프로세스, 과제 및 진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