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교육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13
- 영문명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Schooling Productivity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강민자 반상진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2권 제4호, 363~3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교육 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양적 성과인 학업성취도와 질적 성과인 학생의 학교만족도, 즉 학교교육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일반계 공·사립 고등학교 18개교의 학생 1,060명, 교사 205명이다. 학교교육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측되는 변인 총 12개를 추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학교 변인은 4개(교원 1인당 학생 수, 학급당 학생 수, 시설 수준, 행정 지원 수준)이고, 학생 변인은 4개(학생 1인당 교육비, 학생의 SES, 학생의 교사만족도, 학생의 학교장(감)만족도)이다. 그리고 교사 변인은 4개(교사의 학력 수준, 경력 수준, 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의 학교장(감)만족도)이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급당 학생 수, 시설 수준, 행정 지원 수준, 학생 1인당 교육비, 학생의 SES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설 수준, 학생의 SES, 학생의 교사만족도, 학생의 학교장(감)만족도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도와 학생의 학교만족도에 함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설 수준과 학생의 SES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원 1인당 학생 수와 교사 변인 4개는 모두 학교교육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Coleman의 연구 이후 50년 이상 학교교육 생산성에 대한 연구가 주로 학업성취도에 편중되었던 반면, 이 연구는 학업성취도외에도 학교교육의 질적 성과인 학생의 학교만족도를 포함하여 학교교육 생산성으로 규정하고 그에 따른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증거 기반 교육재정 정책 수립 및 교육재정 투자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factors influencing schooling productivity which means comprehensively by integrating quantitative educational outcome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and qualitative educational outcomes like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60 students and 205 teachers from 18 general public and private high schools located in Jeollabuk-d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by extracting a total of 12 variables predicted as factors affecting schooling productivity. Specifically, there were 4 school variables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facility level, administrative support level), and 4 student variables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SES of students, teacher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principal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there were 4 teacher variables (teacher's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career level,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s principal satisfac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factors tha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includ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the facility level, the level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and the student's SES. Second, the factors that affected student satisfaction with school were the facility level, the student's SES, the student's teacher satisfaction and the student's principal satisfaction. Third, the factors that affected both academic achieve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in school were the facility level and the student's SES. Finally, among the school variables,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and four teacher variables did not affect schooling productivity. While research on schooling productivity has been mainly focused on academic achievement for more than 50 years since Coleman's report(1966),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defining schooling productivity to include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as a qualitative outcome of school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s a quantitative outcome of schooling, and empirically verifies the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evidence-based education finance policy establishment and education financial investment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schooling productivity.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북 IB 프로그램 운영학교 지원 방안
- 중학생의 현실세계 학교폭력 피해 유형과 사이버폭력 피해 유형 간 전이 양상 및 심리적 특성
- 진로교육 운영방안 탐색을 위한 교수와 학생 인식 비교: 소규모 대학을 중심으로
- 사이버대학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학습모형 및 요인분석
- 경계선 지능 초등학생의 잠재적 개발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적 지원
- 성인평생학습자의 자기성찰과 시민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대인관계능력과 비판적 사고의 간접효과
-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이 생활만족과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Mothers’ Coercive Parenting and Aggress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4차 산업시대 대학교육 품질관리를 위한 전공 소단위 교육과정 인증체계 방안
- 제5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과제에 대한 K지역의 교육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학습부진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중재연구를 통한 경계선 지능 아동의 학습 변인 연구
- 중국 평생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주관적 행복감 관계에서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팀 기반 학습(TBL)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교수학습센터 학습프로그램 참여도와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학습역량의 매개효과와 학업성취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분석과 지원방안 -J대학 사례에 기반하여-
- 에리히 프롬의 규범적 인본주의와 사회교육의 기준
- AI 디지털교과서 개발: 정책 현황과 주요 이슈
- 학교교육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고등학교 장애학생 대학생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과학교사의 서비스러닝 운영 사례
-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가 지각한 학교 관리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과 진로전담교사의 직무 수행의 관계에서 담임교사와의 연계의 매개효과
- 군인가정 자녀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