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생존수영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이용수 18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Survival Swimming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박세원 김명수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3호, 157~16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생존수영 실기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2024년 상반기 충청남도교육청에서 개발한 초 등학교 생존수영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생존수영교육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교육청의 TF팀(장학사 및 현장교원) 4명의 서면 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여 질적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생존수영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은 실기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학 생들에게도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실기교육 이전에 사전 학습 자료로 활용되어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프로그램은 실기교육의 대체제가 아닌 보완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교육의 접근성을 높이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구성은 교육의 일관성을 유 지하고,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생존수영 교육이 단순한 실기교육에 머물지 않고, 이론과 실기의 균형 잡힌 접근을 통해 학생들의 수상 안전 능력을 향상 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case of an onlin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ed by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in the first half of 2024,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practical survival swimming training. Qualitativ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written interview responses from a task force team comprising four members (one supervisor and three field teachers) from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ival swimming online education program provide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practical training and served as preparatory learning material,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before practical sessions. Second, the program functioned as a complement rather than a replacement for practical training, demonstrating potential to increase student participation and improve accessibility to education. Third, the systematic structure of the program ensured consistency in education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enhanc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lementary school survival swimming education can move beyond merely practical training,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water safety skills through a balanced approach integrating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ompon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세원,김명수. (2024).초등학교 생존수영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 (3), 157-169

MLA

박세원,김명수. "초등학교 생존수영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3(2024): 157-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