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줄넘기 운동이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과 활동과정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
- 영문명
- The Effect of Jump Rope Exercise on The Physical Activity Enjoyment and Activity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이선영 박은규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3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줄넘기 운동이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 및 활동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써,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 A 발달놀이센터에 다니는 발달장애 초등학생 8명으로 선정하였다. 줄넘기 프로그램은 2023년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간 45분씩 주 1회, 총 12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V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변화를 비모수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활동과정 변화는 정성훈(2013)의 지적장애 초등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음악줄넘기 지도 방법을 재구성하여 비구조화된 내용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첫째, 줄넘기 운동이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의 자신감, 재미, 건강유지 및 미적 체험, 협동심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줄넘기 운동이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활동과정의 변화에서 참가 학생들은 뛰기/줄 돌리기/뛰기와 줄 돌리기 연속동작/줄넘기하기 수행에서 참가학생들은 수행곤란에서 도움요청, 수행가능, 수행우수 그리고 매우우수라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 of rope jumping on the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ies and activity proc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igh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A Developmental Play Center located in D City, and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ope jumping program. was applied for a total of 12 sessions, once a week for 45 minutes for 3 months from April to June 2023. For data analysis, the SPSS 26.0 Ver program was used to analyze changes before and after program participation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The conclusions were First, rope jumping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fi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njoy physical activity. After successfully performing a new movement, give a thumbs up and practice the movement repeatedly with a confident expression. Second, jumping/rope turning/rope jumping+rope turning/rope jumping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vity process of physical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IV.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줄넘기 운동이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과 활동과정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체육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기본 움직임 기술(FMS) 기반 초등체육에 관한 이해와 쟁점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체육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아침 신체활동을 하는 초등교사의 의도와 학생의 경험
- 초등학생의 운동 참여 수준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스포츠 사회성과 교사 및 교우관계의 다중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사의 리듬체조 수업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협동학습 TGT 구조를 적용한 초등 예비교사의 배드민턴 수업에 대한 탐구
- 초등 생존수영교육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수영장이 없는 초등학교 사례 연구
- 존재의 지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신체활동 관련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 초등학교 생존수영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