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침 신체활동을 하는 초등교사의 의도와 학생의 경험

이용수 12

영문명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ntions and students' experiences of morning physical activity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배종희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3호, 51~6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아침 신체활동을 하는 초등교사의 의도와 그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경험에 담긴 의미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대한광역시 민국초등학교에 근무하는 2명의 초등교사와 그 학급에 있는 남녀 학생 각 1명씩을 연구참여자로 목적표집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2024년 3월부터 2024년 9월까지를 연구기간으로 정하였으며, 7개월 동안 연구참여자들은 초등학교 2학년 담임, 5학년 담임을 맡아서 매일 자발적인 아침 신체활동을 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들과 수시 면담과 심층면담을 하였으며, 아침 신체활동을 하는 장면을 사진으로 찍고 관찰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수집된 다양한 자료들은 귀납적인 분석의 과정을 거쳐 경험적 지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건강한 삶을 위해’, ‘바른 몸가짐, 바른 마음가짐’, ‘뭉쳐야 산다’ 등 3가지의 의도를 가지고 아침 신체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학생에게 아침 신체활동은 ‘그냥 좋아요’, ‘함께 하고 싶어요’, ‘학교 울타리 밖으로’ 등 3가지의 경험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교사의 의도와 학생의 경험이 다소 일치하는 부분도 있지만 예상하지 못한 결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정규 교육과정처럼 체계적인 내용이 아니더라도 아침 신체활동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주고 있어 학교 현장에서도 확대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nten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engage in morning physical activity and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it. A case study was conducted by purposively sampling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t Minguk Elementary School in Daehan Metropolitan City and one male and one female student in their classes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period was set from March 2024 to September 2024, and for 7 months, the research participants took on the role of second-grade and fifth-grade homeroom teachers and engaged in voluntary morning physical activity every day. The researcher conducted regular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took pictures of the scenes of morning physical activity, and recorded the observations. The collected various data were analyzed inductively to derive empirical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eachers engaged in morning physical activity with three intentions: ‘for a healthy life’, ‘right posture, right mindset’, and ‘we must unite to survive’, and for students, morning physical activity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experiences: ‘I just like it’, ‘I want to do it together’, and ‘outside the school fence’. Looking at these results, there are some parts where teachers’ intentions and students’ experiences are somewhat similar, but there are also unexpected results. Even if it is not a systematic content like the regular curriculum, morning physical activity provides students with a positive experience, so it needs to be expanded i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종희. (2024).아침 신체활동을 하는 초등교사의 의도와 학생의 경험.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 (3), 51-64

MLA

배종희. "아침 신체활동을 하는 초등교사의 의도와 학생의 경험."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3(2024): 5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