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체육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기본 움직임 기술(FMS) 기반 초등체육에 관한 이해와 쟁점
이용수 50
- 영문명
- Paradigm Shift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Issues Related to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kill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신기철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3호, 65~8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에 고시된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은 과거와 달리 신체활동 형식 중심의 내용 체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신체활동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중요한 매체가 되는 신체의 움직임을 체육과의 핵심 내용으로 자리 배치하는 동시에 그러한 움직임 수행 역량을 길러 주는 것을 체육과의 본질적인 역할이자 성격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기본 움직임 기술(Fundamental Movement Skill; FMS)을 중심으로 한 초등 체육교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우선 FMS를 고려하는 움직임 교육이 학문적 및 교육적 영역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어서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FMS가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에 더하여 FMS에 기반한 초등 체육교육의 이해와 실천에 관해 체육교육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몇 가지 이슈들을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cently announced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unlike the past, establishes a content system centered on physical activity forms and positions physical movements, which are important media for achieving the goals of various physical activities, as the core content of physical education, while stipulating that fostering the ability to perform such movements is the essential role and character of phys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hat will help understan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entered on the fundamental movement skills(FMS) presented in the new curriculum.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d how movement education considering FMS has been developed in academic and educational fields, and then explored how FMS i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ocument. In addition, several issues discussed in the academic community of physical education regarding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ased on FMS were organized.
목차
Ⅰ. 서론
Ⅱ. FMS의 이론적 토대: 움직임 교육의 타임라인
Ⅲ.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속의 FMS 탐색
Ⅳ. FMS 관련 쟁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줄넘기 운동이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과 활동과정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체육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기본 움직임 기술(FMS) 기반 초등체육에 관한 이해와 쟁점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체육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아침 신체활동을 하는 초등교사의 의도와 학생의 경험
- 초등학생의 운동 참여 수준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스포츠 사회성과 교사 및 교우관계의 다중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사의 리듬체조 수업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협동학습 TGT 구조를 적용한 초등 예비교사의 배드민턴 수업에 대한 탐구
- 초등 생존수영교육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수영장이 없는 초등학교 사례 연구
- 존재의 지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신체활동 관련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 초등학교 생존수영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