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운동 참여 수준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스포츠 사회성과 교사 및 교우관계의 다중 매개효과
이용수 18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ercise Participation Leve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ports Sociality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 and Classmate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안지훈 김재운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3호, 107~12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운동 참여 수준, 스포츠 사회성, 교사 및 교우관계, 학교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운동 참여 수준과 학교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스포츠 사회성과 교사/교우관계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89명을 대상으로 주간 운동 빈도, 총 운동시간, 스포츠 사회성, 교사 및 교우관계, 학교생활 만족도를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운동 참여 수준은 스포츠 사회성,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학교생활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둘째, 스포츠 사회성,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학교생활 만족도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다. 셋째, 운동 참여 수준과 학교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스포츠 사회성과 교사/교우관계는 직렬 다중 매개효과를 지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초등학생들의 운동 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스포츠 사회성이 향상되고, 스포츠 사회성은 학교 내에서 교사 및 교우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영향을 주어 학교생활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statistically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ercise participation level, sports sociality, relationships with teacher and classmate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it aimed to verify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ports sociality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 and classm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leve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89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 students were targeted, and the weekly exercise frequency, total exercise time, sports sociality, relationships with teacher and classmate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ercise participation level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ports sociality,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classmate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sports sociality,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classmate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ird, sports sociality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 and classmates hav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leve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the more their sports sociality improved, and that sports sociality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classmates within the school, thereby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줄넘기 운동이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과 활동과정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체육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기본 움직임 기술(FMS) 기반 초등체육에 관한 이해와 쟁점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체육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아침 신체활동을 하는 초등교사의 의도와 학생의 경험
- 초등학생의 운동 참여 수준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스포츠 사회성과 교사 및 교우관계의 다중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사의 리듬체조 수업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협동학습 TGT 구조를 적용한 초등 예비교사의 배드민턴 수업에 대한 탐구
- 초등 생존수영교육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수영장이 없는 초등학교 사례 연구
- 존재의 지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신체활동 관련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 초등학교 생존수영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제도의 고용효과 분석 연구
- 직업계고 교사의 중등직업교육 지원 사업에 관한 만족도 및 요구
-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재학 중 진로준비행동 유형과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