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존재의 지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신체활동 관련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이용수 11
- 영문명
- Directions for Redesigning the Physical Activity-related Curricul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tancy of Being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한준상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3호, 137~15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과 분리의 의결로 인하여 저학년 신체활동의 교육이 재조명받고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가 요구되는 동시에 이후 교육과정을 위한 기초적인 성격을 지 니고 있다. 학생이 거주하는 시간에 따라 교육과정은 지속되어야 하는 것이다. 신체활동의 교육 역시 매한가지이 다. 하지만 현행 신체활동 관련 교육과정은 이를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행 신체활동 관련 교육과정 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현행 교육과정 체제 내에서 교육의 지속성을 추구하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Dewey와 Heidegger를 각 교육과정의 철학적 공통점으로 발견하였고, 아동과 문화의 공진화를 고려한 방향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cent decision to separate physical education for early elementary grades has brought renewed attention to physical activity-related education for young students. Early elementary grades must bridge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hile also providing a foundation for future educational stages. Therefore, curricula should be constant based on the time students spend in their academic settings. This applies equally to physical activity-related education. However, the current curricula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do not ensure this constancy. This study explores the existing physical activity-related curricula and seeks ways to ensure constancy within the current curriculum framework. The exploration identified Dewey and Heidegger as key philosophical commonalities across each curriculum, leading to a direction that emphasizes the co-evolution of children and cultur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신체활동 관련 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지속성
Ⅲ. 현행 교육과정에 제시된 신체활동 관련 교육 내용과 지속성의 한계
Ⅳ. 신체활동의 지속성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방향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줄넘기 운동이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과 활동과정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체육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기본 움직임 기술(FMS) 기반 초등체육에 관한 이해와 쟁점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체육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아침 신체활동을 하는 초등교사의 의도와 학생의 경험
- 초등학생의 운동 참여 수준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스포츠 사회성과 교사 및 교우관계의 다중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사의 리듬체조 수업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협동학습 TGT 구조를 적용한 초등 예비교사의 배드민턴 수업에 대한 탐구
- 초등 생존수영교육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수영장이 없는 초등학교 사례 연구
- 존재의 지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신체활동 관련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 초등학교 생존수영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