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의 리듬체조 수업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Teachers' Perception of Rhythmic Gymnastics Classes and Improvement Plan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정주이 박생렬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3호, 123~13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표현 영역 중 리듬체조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확인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모집하였고, 이 중 3명을 선별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고 삼각검증법을 통해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교사들은 리듬체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대부분의 교사들은 리듬체조 종목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수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리듬체조 종목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 부족, 타 체육 영역에 비해 교수학습 자료의 부족으로 파악되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초등교사와 예비초등교사의 전문성 강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외부전문가 활용과 수업 환경 개선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교사들의 수업 유능감 향상과 리듬체조 수업을 위한 가치 극대화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는 리듬체조 수업을 진행하는 초등교사들의 전문성 함양과 교수법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 개발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eachers' perceptions of rhythmic gymnastics classes in the expression area of elementary schools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In total, 1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Three of them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 and the reliability of the data was secured through the triangular verification method. In resul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positively aware with the educational effects of rhythmic gymnastics activities. However, they were not confident with the rhythmic gymnastics class and had difficulties in running the class. The reasons were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and expertise in rhythmic gymnastics, as well as limit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comparison with general physical education subjects. To improve rhythmic gymnastics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utilizing experts, and improv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were suggested.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develop educational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줄넘기 운동이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과 활동과정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체육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기본 움직임 기술(FMS) 기반 초등체육에 관한 이해와 쟁점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체육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아침 신체활동을 하는 초등교사의 의도와 학생의 경험
- 초등학생의 운동 참여 수준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스포츠 사회성과 교사 및 교우관계의 다중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사의 리듬체조 수업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협동학습 TGT 구조를 적용한 초등 예비교사의 배드민턴 수업에 대한 탐구
- 초등 생존수영교육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수영장이 없는 초등학교 사례 연구
- 존재의 지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신체활동 관련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향
- 초등학교 생존수영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재학 중 진로준비행동 유형과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
- 직업계고 교사의 중등직업교육 지원 사업에 관한 만족도 및 요구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제도의 고용효과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