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배경 교사의 교직 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성찰
이용수 117
- 영문명
- A Biracial Teacher’s Experience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Autobiographical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바수데비 장인실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3호, 107~1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한 초등교사의 삶과 교직 경험을 드러내고 이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서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교사의 회상기록자료, 다문화 배경 관련 생애 기록물, 반성적 일지 등을 자료로 수집해 다문화 배경 교사가 삶의 경험이 어떠하고, 교직에서의 경험은 어떠한지 성찰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교직 이전의 삶에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사회가 부여하는 다문화인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하며 한국 사회의 다문화 인식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이후 여행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새로운 시각(탈인종 정체성, 다인종 정체성)을 갖게 되었다. 교직 내에서 교사는 스스로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내면화하였음을 발견하고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며, 한국 사회에서 타자화되었던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적 판단을 내리고, 다문화 학생과의 관계 형성에 적극성을 보이며, 교직 내에서 타자화를 경험하며 그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처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ife and teaching experiences of a biracial elementary school teacher using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teacher's recollections, life records related to her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reflective journals. What the teacher has experienced before and during her teaching career, and how these experiences are intertwined has been explored based on the data. The findings revealed that, in her pre-teaching life, based on her self-identity as a Korean, the teacher sought to challenge the social framework of a “multicultural person” that was imposed on her, and found the Korean society’s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problematic. Her travel experiences led her to develop a new perspective on her identity, encompassing extra-racial and multiracial aspects. In the course of her teaching career, she realizes that she had internalized societal prejudices about the so-called “Damunhwa” (the Korean term referring to multicultural people and phenomena), and thus experiences negative emotions. The teacher makes pedagogical decisions based on her experiences of being “othered” in Korean society, as she actively builds relationship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She experiences being “othered” within the peer teachers and shows little response to i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fering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전쟁 혼혈인 김영도의 생애사 연구
- 한족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에서의 창업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한국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정체성 인식에 대한 교육적 전환 - 다큐멘터리 “10년 후 동창생”방송 콘텐츠 분석 사례 중심으로
- South Korean Educators’ Experience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heir Young Children Through a Lens of Cultural Competence
- 경기 지역 결혼이주여성 자녀 대상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영향요인
- 다문화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과 언어능력 간 관계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다문화 교육 요소 분석
- 다문화 배경 교사의 교직 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성찰
- 다문화 미디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유자녀 여성 이주민의 ‘괜찮은 일’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이주배경학생 진로교육 문제점의 요인 및 개선방안: 외국출생 외국국적 학생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중등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분석 -상호문화 의사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치원·어린이집 영유아 안전사고 뉴스 보도의 주제 동향 분석: 최근 5년간 주요 언론사 기사 중심으로
- 초등학교 입학 관련 그림책의 내용분석: 유·초 연계를 중심으로
- 5세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에 따른 수용어휘력과 표현어휘력 차이 분석: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