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자녀 여성 이주민의 ‘괜찮은 일’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이용수 72

영문명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Decent Work of Migrant Women with Children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표소휘 양은주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3호, 149~18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자녀 여성 이주민이 지각하는 ‘괜찮은 일’의 특성을 알아보고, 일 경험에서의 어려움과 자원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3년 이상 직장 경험이 있는 여성 이주민 1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면담 내용은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영역과 범주는 두 명의 외부 전문가에게 감수를 받아 수정하여 5개의 영역과 23개의 범주로 확정되었다. 여성 이주민이 지각하는 ‘괜찮은 일’의 조건으로 일-양육 병행을 가능하게 하는 근무 일정, 합당한 보수, 안정적, 복지, 정서적으로 안전한 환경, 적당한 노동 강도, 한국어 수준에 맞는 일 등 7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여성 이주민의 일 경험으로는 소수자 정체성의 상호교차성으로 인한 어려움, 일 경험에서의 심리적 적응자원, 일 경험에서의 사회적 자원, 일 경험을 통한 성장의 4가지 영역과 16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소수자 정체성의 상호교차성으로 인한 어려움 영역에서는 언어 차이, 일 가정 갈등, 여성 이주민이라는 꼬리표로 인한 소외화, 가족 내 문화적응 스트레스, 접근하기 어려운 제도적 자원, 경제적 제약이 도출되었다. 일 경험에서 심리적 적응자원 영역에서는 진로적응성, 동기부여, 정서 조절, 문화적응 노력이 도출되었다. 일 경험에서 사회적 자원 영역에서는 가족과 친구의 지지, 직장에서의 지지, 기관의 지지, 공공 정책의 지지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일 경험을 통한 성장 영역에서는 더 나은 직업 찾기와 소속감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여성 이주민의 ‘괜찮은 일’을 실증적으로 이해하고 ‘괜찮은 일’을 증진하는 정책적 제안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good work” as perceived by migrant women with young children, and the challenges and resources in their work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migrant women with at least three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domains and categories that emerged from the analysis were reviewed by two external experts and revised, resulting in five domains and 23 catego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seven categories of decent work conditions perceived by migrant women: a work schedule that allows them to combine work and childcare, reasonable compensation, job security, welfare, an emotionally safe environment, moderate work intensity, and work that matches their level of Korean. In terms of migrant women's work experience, four domains and 16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challenges of intersectionality of minority identities, psychological adaptive resources in work experience, social resources in work experience, and growth through working. The challenges of intersectionality of minority identities domain included language differences, work-family conflict, marginalization due to labeling as a migrant women, acculturation stress within the family, inaccessible institutional resources, and economic constraints. Psychological adaptive resources in the work experience domain included career adaptability, motivation, emotional regulation, and acculturation efforts. The social resources of the work experience domain included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support at work, support from organizations, and support from public policy. Finally, the categories of finding a better job and belonging were identified in the growth through the working domain.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mpirical understanding of decent work among migrant women and provide a basis for policy proposals to promote decent wor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윙하단] 작가정신 대여전
  • [윙하단] 시사북스 JLPT 기획전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