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 미디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용수 205

영문명
Trends and Challenges in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Research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송미리 박선운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3호, 225~24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미디어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다문화 사회, 미디어 사회에서의 교육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24년까지 “다문화”, “인종”, “민족”, “이주”, “이주 배경”, “외국인”과 “미디어교육”을 주제어로 하는 국내 학술논문 53편을 연구 유형, 교육 대상, 연구 내용, 미디어 종류, 미디어교육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미디어교육 관련 연구는 2008년에 처음 발표되어 비교적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큰 폭으로 증가하지는 않았다. 둘째, 연구 대상 면에서는 “이주 배경 집단” 또는 “이주 배경 집단과 선주민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연령별로는 성인 대상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으며 연령을 특정하지 않은 연구도 상당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 미디어 활용 교육 연구의 경우 이주 배경 집단 대상의 다문화 현상과 무관한 내용을 활용한 교육이 많았으며, 다문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다문화 현상과 관련된 내용의 교육이 가장 많았다. 넷째, 최근 연구들에서는 다양한 미디어를 사용하여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나, 미디어를 특정하지 않고 수행한 연구 또한 다수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연구 방법의 활용, 다문화 미디어교육 대상의 확대, 다문화 미디어교육 내용에 대한 검토, 미디어의 종류를 고려한 연구 수행과 함께 다문화 미디어교육 연구의 양적, 질적 성장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rends in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research and suggest directions for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and media-focused society. To achieve this goal, 53 research articles with the keywords "multiculturalism," "race," "ethnicity," "migration," "migration background," "foreigners," and "media education" from 2006 to 2024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types of research, research subjects, research content, types of media, and types of media educa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was first published in 2008 and has been published relatively steadily. Second, most studies focused on “immigrant group” or “immigrant and native population group”. Many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with adults, and a significant number of studies did not specify age groups. Third, many studies on media education for immigrants covered content that was unrelated to multicultural phenomena, while most studies on multicultural media literacy education often dealt with multicultural phenomena. Fourth, although recent studies have used a variety of media, a number of studies did not specify the type of medi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utilizing various research methods, expanding the subjects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reviewing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conducting research that considers the types of media. It also asserts that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research should be expanded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미리,박선운. (2024).다문화 미디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다문화교육연구, 17 (3), 225-247

MLA

송미리,박선운. "다문화 미디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다문화교육연구, 17.3(2024): 225-2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