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과 언어능력 간 관계

이용수 181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Language Abilities of Multicultural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양윤희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3호, 131~14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긍정적 요소인 정서행동적 강점(사회지향행동)과 부정적 요소인 난점(정서증상, 과잉행동, 행동문제, 또래문제)과 언어능력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만 4~7세 다문화 아동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일반아동 집단에서 수용언어능력과 사회지향행동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다문화 언어발달지연 아동 집단에서는 정서행동적 강점 또는 난점과 언어능력 간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로도 다문화 아동 중 정상언어발달을 경험하는 집단에서 언어능력에 정서행동적 강점(사회지향행동)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otional behavioral strengths (pro-social behavior), which are positive factors that can influenc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difficulties (emotional symptoms, hyperactivity, conduct problems, peer problems) on language ability.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or multicultural children aged 4 to 7. As a resul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ceptive language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behavioral factors and language was not significant in the children with language delayed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social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anguage ability of the group experiencing normal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윤희. (2024).다문화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과 언어능력 간 관계. 다문화교육연구, 17 (3), 131-148

MLA

양윤희. "다문화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과 언어능력 간 관계." 다문화교육연구, 17.3(2024): 131-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