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outh Korean Educators’ Experience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heir Young Children Through a Lens of Cultural Competence

이용수 3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서지아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3호, 185~22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irectors’ experience and cultural competence in interacting with both North Korean women and their children. Fourteen educators, who work in seven pre-schools in areas of high density of North Korean resident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Qualitativ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eachers’ and directors’ experiences with North Korean women and their children through open-ended and in-depth questions. This research explores how educators have become aware of North Korean women and their children, how knowledgeable they are about them, what kind of attitudes they have towards them, and how skillful they are in engaging with North Korean women and their children. The results highlighted that the educators show knowledge regarding the North Korean parenting style and its influence on children, family background influences on children, and cultural differences. Most of the participants have respectful attitudes towards North Korean women and their children. They also show teaching skills when they work with these children and communication skills in interacting with their mothers. However, a few educators demonstrated ongoing prejudice against North Korean women and their children.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the application of cultural competence approaches in teacher training.

영문 초록

본 연구는 남한 유아교사와 원장님들의 문화 역량을 바탕으로 탈북 어머니와 그 유아들과의 경험을 살펴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밀집지역에 위치한 7개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원장님과 교사들 14명을 대상으로 탈북 어머니와 유아들과의 경험에 대한 반구조적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탈북 어머니와 그 자녀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 어떠한 태도를 지니고 있는지, 그리고 어머니 및 유아들과 관계하기 위해 어떠한 교수능력과 대인관계기술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원장님들 및 교사들은 북한의 양육법과 그 양육법이 유아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탈북 어머니의 가정환경이 유아들에게 끼친 영향과 그로 인한 문화적 차이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들로 인해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이 탈북 어머니와 유아들과 그 가족들에게 존중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아이들을 가르칠 때는 교수능력을 그들의 부모님들과 관계할 때는 의사소통능력을 발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몇몇의 교사들은 유아들과 그들의 어머니에 대해 계속적인 편견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교사의 문화역량을 돕고 발달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는데 특히 예비유아교사들과 현장교사들이 문화역량을 갖추어 성장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지아. (2024).South Korean Educators’ Experience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heir Young Children Through a Lens of Cultural Competence. 다문화교육연구, 17 (3), 185-223

MLA

서지아. "South Korean Educators’ Experience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heir Young Children Through a Lens of Cultural Competence." 다문화교육연구, 17.3(2024): 185-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