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주배경 중등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분석 -상호문화 의사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이용수 165

영문명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Migrant Background Students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황윤아 최현정 이지영 장현정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3호, 307~33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1~4권 교재가 상호문화 의사소통 역량 원리에 따라 학습자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존중하고 소통하는 교육적 가치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yram(2021)의 상호문화 의사소통 역량 개념을 기반으로 교재의 외적 구성에 해당하는 ‘삽화의 다양성’, 내적 구성 중 문화영역에서 제시된 교육 내용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등장인물의 국적과 성별의 다양성은 잘 반영되어 있었으나, 삽화에서 그 다양성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영역의 내적 구성에서는 주로 상호문화 의사소통 역량의 초기 단계인 ‘지식’ 에 집중되어 있어 ‘기술’과 ‘태도’ 함양을 위한 요소는 부족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교재 개발 시 삽화와 교육 내용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보다 명확히 반영하고, 상호문화적 이해를 심화할 수 있는 ‘기술’과 ‘태도’ 함양 요소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the "Standard Korean Communication" textbooks (Volumes 1-4)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migration backgrounds adequately reflect educational values that respect and facilitate communication across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in line with the principle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To achieve this, the study evaluated the textbooks based on Byram's (2021) concept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focusing on the diversity of illustrations (external composi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ltural content presented (internal compos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diversity in terms of nationality and gender among the characters was well reflected, the illustrations did not sufficiently convey this diversity. In terms of internal composition, the cultural sections primarily focused on the initial stage of intercultural competence, which is 'knowledge,' and lacked elements necessary for developing 'skills' and 'attitudes.' Consequently, the study suggests that future textbook development should more clearly incorporate cultural diversity in both illustrations and educational content, and enhance the elements that foster 'skills' and 'attitudes' for deepening intercultural understand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윤아,최현정,이지영,장현정. (2024).이주배경 중등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분석 -상호문화 의사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7 (3), 307-335

MLA

황윤아,최현정,이지영,장현정. "이주배경 중등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분석 -상호문화 의사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7.3(2024): 307-3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