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기 지역 결혼이주여성 자녀 대상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영향요인
이용수 108
- 영문명
- Effectiveness and Influencing Factors of a Bilingual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of Married Migrant Women in Gyeonggi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종국 주미경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3호, 249~27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향후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참여 동기와 경험, 효과 촉진 요소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 다문화센터에서 운영 중인 베트남어 반, 중국어 반 이중언어교육에 자녀를 참여시킨 결혼이주여성 8명, 자녀 8명, 총 1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이중언어교육 참여 동기, 참여 효과, 참여 효과 촉진 요소와 관련하여 95개의 주제어가 도출되었고, 이들 주제어를 의미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14개의 하위 범주로 체계화하였다. 면담 자료 분석 결과, 이중언어교육 참여 동기는 ‘가족 관계 개선, ‘진로 개발’, ‘엄마와 자녀 사이의 소통’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경우 대부분 엄마의 권유가 참여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효과는 ‘가족 관계 개선, ‘자신감 향상’, ‘진로 개발’, ‘외국어 능력향상’, ‘엄마-자녀 사이의 관계 개선’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효과를 촉진하는 요인으로는 ‘활동 및 체험 중심의 교수법’, ‘체계적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적절성’, ‘학습 네트워크 형성’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eration status of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of married migrant women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promote their participation and the effectiveness in order to seek for implications for future operation.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married migrant women and 8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Vietnamese and Chinese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a multicultural center in Gyeonggi province. Based on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95 keywords were derived related to the factors that promote their participation in the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and the effect of the program.These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14 subcategories by classifying them based on similarity of meaning.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bilingual education was found to be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hip’, ‘career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In the case of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ir mothers’ recommendations motivated their participati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as found to be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hip’, ‘improvement of confidence’, ‘career development’, ‘improvement of foreign language ability’, and ‘improvement of mother-child relationship’. The analysis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promoted by activity-based teaching methods, ‘systematic curriculum’, and ‘supportive learning networ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pecific implications for future bilingual education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전쟁 혼혈인 김영도의 생애사 연구
- 한족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에서의 창업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한국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정체성 인식에 대한 교육적 전환 - 다큐멘터리 “10년 후 동창생”방송 콘텐츠 분석 사례 중심으로
- South Korean Educators’ Experience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heir Young Children Through a Lens of Cultural Competence
- 경기 지역 결혼이주여성 자녀 대상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영향요인
- 다문화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과 언어능력 간 관계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다문화 교육 요소 분석
- 다문화 배경 교사의 교직 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성찰
- 다문화 미디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유자녀 여성 이주민의 ‘괜찮은 일’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이주배경학생 진로교육 문제점의 요인 및 개선방안: 외국출생 외국국적 학생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중등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분석 -상호문화 의사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