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다문화 교육 요소 분석
이용수 439
- 영문명
-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lements of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은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7권 제3호, 59~8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학교 각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다문화 교육 요소가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다문화 교육 요소인 정체성, 다양성, 문화 이해, 반편견, 평등성, 협력을 중심으로 초등학교의 전체 교과에 대하여 다문화 교육 요소를 포함하고 있거나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성취기준을 요소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교육 요소에 대해 내용적 연관성을 지닌 교과는 도덕과, 사회과, 실과, 음악과, 미술과, 체육과이며, 도구적 활용성을 지닌 교과는 통합교과, 국어과, 수학과, 과학과, 영어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교과별 성취기준에 제시된 다문화 교육 요소를 추출해보고, 각 교과 특성에 따라 제시된 다문화 교육 요소의 내용을 어떻게 수업 상황에 반영할 수 있을지 알아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다문화 교육 요소가 ‘정체성’에서 ‘협력’까지 단계적으로 지식적, 가치 판단적, 실천적 태도의 측면에서 모두 다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모든 교과 성취기준에서 다문화 교육 요소를 찾아보고자 시도를 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교과 성취 기준에 대한 다문화 교육 요소 분석을 토대로 구체적인 다문화 교육 교수·학습 방법 연구가 이어져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문화 교육이 다른 나라 문화 체험 및 다양성 이해의 단계에서 발전하여 다문화 사회를 살아갈 수 있는 기본 역량 함양 수준의 기초·기본 교육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multicultural education elements are pres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ac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revised in 2022. Focusing on ‘identity’, ‘diversity’, ‘cultural understanding’, ‘anti-bias’, ‘equality’, and ‘cooperation’, which are the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achievement standards that are considered to contain or be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elements for the entir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analyzed by each element. As a result, the subjects that are content-related to the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Morality departments, Social studies departments, Practical subject,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 subjects with instrumental utility were Integrated subjects, Korean, Math, Science, and English. We also extracted the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es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subject and examined how the contents of the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es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could be reflected in the class situation. In addit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ere dealt with in terms of knowledge, value judgment, and practical attitudes, step by step, from "identity" to "cooper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find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ll elementary school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an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ing specific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represented by multicultural education elements. Through this, multicultural education can develop at the stage of cultural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diversity in other countries and become basic education for cultivating basic competencies to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분석 및 연구 방법
Ⅲ. 다문화 교육 요소에 대한 고찰
Ⅳ. 교과별 성취기준의 다문화 교육 요소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전쟁 혼혈인 김영도의 생애사 연구
- 한족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에서의 창업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한국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정체성 인식에 대한 교육적 전환 - 다큐멘터리 “10년 후 동창생”방송 콘텐츠 분석 사례 중심으로
- South Korean Educators’ Experience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heir Young Children Through a Lens of Cultural Competence
- 경기 지역 결혼이주여성 자녀 대상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영향요인
- 다문화 일반아동 및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과 언어능력 간 관계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다문화 교육 요소 분석
- 다문화 배경 교사의 교직 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성찰
- 다문화 미디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유자녀 여성 이주민의 ‘괜찮은 일’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특성화고등학교 이주배경학생 진로교육 문제점의 요인 및 개선방안: 외국출생 외국국적 학생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중등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표준 한국어 의사소통》 분석 -상호문화 의사소통 역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