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PA를 활용한 중 고등학교 IT 체육교실 운영 효과 분석*
이용수 151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 of Operating IT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Using IPA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권민정 김영욱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2호, 201~2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경기도의 중 고등학교 IT 체육교실 운영 효과를 IPA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구방법: 2023년 IT 체육교실을 운영하는 20개교에 재학 중인 중 고등학생 1,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IPA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IPA 결과 지속유지 12개 항목, 점진개선 10개 항목, 과잉노력 3개 항목, 중점개선 2개 항목으로 중점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고등학생의 IPA 결과 지속유지 10개 항목, 점진개선 11개 항목, 과잉노력 4개 항목, 중점개선 2개 항목으로 중점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IT 체육교실 운영에 대한 IPA 결과를 비교한 결과 지속유지 차원은 교육환경(5개 항목), 점진개선 차원은 교육방법(5개 항목), 중점개선 차원은 교육내용 1개 항IT 체육교실은 온・오프라인 연계 환경과 자기주도적 건강관리 실천을 강조하는 교육 환경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IT 체육교실은 학생들의 개인 수준을 고려하는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운영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IT 체육교실은 기존의 디지털 활용 체육수업을 재구조화하고 체육 교과 교육과정의 본질적 가치를 담아내는 교육 환경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operating IT PE classes in second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using IPA. Method: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1,127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20 schools operating IT PE classes in 2023.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ired samples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and the fin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n IPA matrix. Results: First, the IPA resul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focus on 12 items for continuous maintenance, 10 items for gradual improvement, 3 items for excessive effort, and 2 items for intensive improvement. Second, the IPA results of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focus on 10 items for continuous maintenance, 11 items for gradual improvement, 4 items for excessive effort, and 2 items for intensive improvement. Third, comparing the IPA results of IT PE classe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tinuous maintenance showed a tendency to focu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5 items), gradual improvement to focus on an educational method(5 items), and intensive improvement focus on one item of educational content as common items. Discussion and conclusion: IT PE classes should be understood as an on/offline linked environment and should b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emphasizes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in PE classes. Also IT PE classes should be operated to enable level-specific learning that considers the individual levels of students. Lastly IT PE classes should be operated as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restructures traditional digital-use PE classes and encapsulates the intrinsic values of PE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질과의 만남’ 실험하기를 통한 예비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자로서의 힘 기르기
- 발달장애 국외 음악치료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IPA를 활용한 중 고등학교 IT 체육교실 운영 효과 분석*
- 학생설계전공제도 참여자 인식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초등 6학년 국어과 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한 수업 전략
- 미래 핵심역량과 학교 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학교 구성원의 조사 연구: A 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다변량 메타분석
- STCPR 과정 기반 디지털 과제물 제작 활동이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