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 핵심역량과 학교 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학교 구성원의 조사 연구: A 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195
- 영문명
- A Study of School Members’ Perceptions on Core Competencies and School Environment Improvement Plans: Focusing on the Case of A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최태형 김사훈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2호, 39~6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의 한 구도심에 위치한 A 중학교에서 학교 구성원들이 바라는 미래 교육의 모습과 학교 환경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A중학교 학생,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과 학교 환경 개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집단 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학생, 교사, 학부모 간에 핵심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교사들은 학생이나 학부모보다 핵심역량의 중요성을 더 높게 평가했으며,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핵심역량의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학교 구성원들은 자기관리 역량과 지식정보 처리 역량을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심미적 감성 역량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한편, 학교 환경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구성원이 인지하고 있었으나, 구체적인 개선 요소의 중요성과 현재 수준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미래 사회에 적합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모두 고려한 공간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유연하고 다양한 공간의 필요성, 심미적 감성 역량의 중요성 인식 증진, 공동체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 등이 종합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future education and school environment of school members’ perception at A-Middle School, located in an old urban area in Seoul.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of A Middle School to investigate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and their perceptions on improving the school environment. The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differences between groups using t-test,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the core competencies among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eachers rated the importance of the core competencies higher than students and parents. Students tended to rate the importance of the core competencies lower as they progressed through the grades. In addition, school members valued self-management and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while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y was perceived as less important. On the other hand, all members recognized the need to improve the school environme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specific improvement elements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school environmen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future society, it is necessary to create spac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students. In particular, there should be comprehensive discussions on the need for flexible and diverse spaces, increas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y, and educational methods to strengthen community compet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질과의 만남’ 실험하기를 통한 예비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자로서의 힘 기르기
- 발달장애 국외 음악치료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IPA를 활용한 중 고등학교 IT 체육교실 운영 효과 분석*
- 학생설계전공제도 참여자 인식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초등 6학년 국어과 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한 수업 전략
- 미래 핵심역량과 학교 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학교 구성원의 조사 연구: A 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다변량 메타분석
- STCPR 과정 기반 디지털 과제물 제작 활동이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