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용수 186
- 영문명
-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rofessional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최윤경 채진영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2호, 67~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민감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나아가 그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현직 영유아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후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he PROCESS macro v.4.0의 Model 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중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의확률 95% 수준에서 표본수 5,000개를 고정시킨 후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교사의 민감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전문성인식 및 놀이교수효능감은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영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직렬이중매개하는 것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영유아에 대한 민감성을 가진 교사는 자신의 직업을 전문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이 높으며,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질 높게 수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논의 및 결론: 질 높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민감성, 전문성인식, 놀이교수효능감을 새로운 연구모형으로 적용해 본 의의가 있다. 각각의 변인들에 대한 영향력을 넘어서 다차원적인 연구를 살펴보면서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개정 누리과정 이후 놀이 중심 교육을 위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핵심 실천역량으로 이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변인들에 조명하였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at the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o further examine whether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have a serial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31 incumbent infant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 using SPSS 21.0 version. After that, in order to find out the serial double mediation effect, it was analyzed using Model 6 of The PROCESS macro v.4.0. In order to find o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ouble mediation effect, bootstrapping was performed after fixing 5,000 samples at the 95% level. Results: The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child interaction,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found to be high. In addition, all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positive, and it was significant that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were mediated in ser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Conclusion: In order to support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it is meaningful to apply sensitivity,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as a new research model. For play-based education after the revised Nuri course, teacher-child interaction is the core practical competency of teachers, and it is intended to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shed light on new variables to support it.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질과의 만남’ 실험하기를 통한 예비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자로서의 힘 기르기
- 발달장애 국외 음악치료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IPA를 활용한 중 고등학교 IT 체육교실 운영 효과 분석*
- 학생설계전공제도 참여자 인식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초등 6학년 국어과 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한 수업 전략
- 미래 핵심역량과 학교 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학교 구성원의 조사 연구: A 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다변량 메타분석
- STCPR 과정 기반 디지털 과제물 제작 활동이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