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35
- 영문명
- Food Art Therapy-Based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s Effects on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Stress Coping Style, and Aggressio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박현정 윤채영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2호, 227~2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공격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부산시에 위치한 청소년복지기관에 등록된 중학생 중 청소년지도사로부터 또래관계가 힘들어 보이는 청소년들을 추천받았고, 프로그램 참여 의사 및 학부모의 동의를 받은 청소년 24명을 실험집단(12명), 대기자 통제집단(12명)으로 선정하였다.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자가 연구 특성에 맞게 10회기로 재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회 90분씩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후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로 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으로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고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을 위하여 이원변량분석(two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자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또래관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자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공격성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셋째,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대기자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적용된 푸트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공격성, 스트레스 방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s utilizing food art therapy on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stress coping style, and aggression. Method: Twenty-fou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a youth welfare center in Busan, who had difficulties with peer relations, were selected by their instructors. After obtaining consent from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12) and a control group (n=12).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10 group counseling program once a week for 90-minutes per session),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group counseling program. Homogeneity was ensured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Subsequently, we conducted a two-way ANOVA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peer relationship enhancement utilizing food art therap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er rela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agg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coping strateg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applied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peer relationship, stress coping style, aggres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limitations and necessity for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질과의 만남’ 실험하기를 통한 예비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자로서의 힘 기르기
- 발달장애 국외 음악치료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IPA를 활용한 중 고등학교 IT 체육교실 운영 효과 분석*
- 학생설계전공제도 참여자 인식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초등 6학년 국어과 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한 수업 전략
- 미래 핵심역량과 학교 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학교 구성원의 조사 연구: A 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다변량 메타분석
- STCPR 과정 기반 디지털 과제물 제작 활동이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