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TCPR 과정 기반 디지털 과제물 제작 활동이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58
- 영문명
- The Effect of STCPR Process-Based Digital Assignment Production Activities on the Digital Literacy of Students in Post-Secondary Special School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장은영 김자경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2호, 141~16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STCPR 과정 기반 디지털 과제물 제작 활동이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G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주 1회, 총 12차시의 중재를 제공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척도를 활용한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측정하였고, 3차시부터 12차시까지 제작된 디지털 과제물을 인터넷 기반 복합 양식 글쓰기 평가기준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사전-사후 점수 비교는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디지털 과제물 완성도 평가 결과는 차시별 점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CPR 과정 기반 디지털 과제물 제작 활동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둘째, STCPR 과정 기반 디지털 과제물 제작 활동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디지털 과제물 완성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적용한 STCPR 과정 기반 디지털 과제물 제작 활동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CPR process-based digital assignment production activities on the digital literacy of students in post-secondary special school. Method: This study provided intervention once a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to 12 students attending G post-secondary special school. Digital literacy was measured with Digital Literacy Scale, and the digital assignments produced from the 3rd to 12th sessions were evaluated using the Internet-based multi-form writing evaluation criteria. Comparison of digital literacy pre- and post-scores was analyzed using a paired-samples t-test,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digital assignment completeness were analyzed for each period. Results: First, the STCPR process-based digital assignment production activity significantly improved the digital literacy scores of students in post-secondary special school. Second, the STCPR process-based digital assignment production activity positively changed the digital assignment completion of students in post-secondary special school.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igital assignment production activity based on the STCPR proces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digital literacy of students n post-secondary special school.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students n post-secondary special school will become more activ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질과의 만남’ 실험하기를 통한 예비영유아교사의 놀이지원자로서의 힘 기르기
- 발달장애 국외 음악치료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IPA를 활용한 중 고등학교 IT 체육교실 운영 효과 분석*
- 학생설계전공제도 참여자 인식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푸드아트테라피를 활용한 또래관계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초등 6학년 국어과 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활용한 수업 전략
- 미래 핵심역량과 학교 환경 개선 방안에 관한 학교 구성원의 조사 연구: A 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다변량 메타분석
- STCPR 과정 기반 디지털 과제물 제작 활동이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