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가와의 관계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과 낙인대처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172
- 영문명
- The Impact of Perceived Working Relations on Recovery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 Focusing on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Self-Determination and Stigma Coping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하명은 정숙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3호, 247~27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가와의 관계와 회복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과 낙인대처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435명의 자료를 SPSS 25.0과 AMO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가와의 관계와 자기결정, 낙인대처, 회복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가와의 관계는 자기결정과 낙인대처를 순차적으로 완전이중매개하여 회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천가와의 긍정적 관계가 정신장애인으로 하여금 자기결정을 할 힘과 기회를 얻게 하며, 이를 통해 자신에 대한 낙인을 극복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회복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회복증진을 위해 실천가와의 관계를 토대로 자기결정수준을 높이고, 적극적인 낙인대처를 할 수 있는 사회복지차원의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and stigma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working relations and recovery as perceived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this end, data from 435 people with mental illness aged 20 and over living in the community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sed using SPSS 25.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First, the perceived working relationships, self-determination, coping with stigma, and recovery of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were reveal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rough the complete double mediation of self-determination and stigma coping, the perceived working relationships of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had a major impact on recover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operative interactions between professionals and people with mental illness give the latter more self-determination and possibilities to overcome stigma, take initiative, and eventually improve their rehabilitation. Based on thi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and actively deal with stigma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practitioners to improve the recovery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ere presented.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의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가와의 관계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과 낙인대처의 이중매개효과
-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의 잠재유형 분석을 통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 및 지원 요구 탐색
-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관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식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장애인연금제도가 필수재 및 장애추가비용 지출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분석 활용
-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탐색 및 취업 차이 검증
-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성취기준 연구: 장애포괄적 기후대응 중심으로
-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 이해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
- 장애인 테마형 매입임대주택 사례 연구 : F 사회복지법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 동료지원쉼터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용자의 위기경험과 종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 장애인과 첨단기술: AI로의 이행
- 장애인일자리사업 이해관계자 관점에서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의 성에 대한 장애인복지종사자들의 인식유형과 성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