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관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식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201
- 영문명
- Perception Study of Disability Support Workers on the Independence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Focus on Q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김아란 이여진 김한솔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3호, 33~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장애인활동지원사를 대상으로 발달장애인 자립에 관한 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세부적으로 탐색하였다. 자료는 부산시의 활동지원사 30명을 대상으로 자립 가능 요인, 자립 개념, 자립 지원 환경, 자립 지원 방식, 활동지원사 역할 등 발달장애인의 자립과 관련된 30개의 진술문을 활용하여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자립지원체계 구축 강조형’, ‘자립 역량 강화 요구형’, ‘당위적 자립 지지형’, ‘발달장애인 자립 부정형’으로 총 4가지 인식유형이 도출되었다.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식유형에 따른 결과를 종합적으로 논의하여 발달장애인의 자립 실현을 위한 활동지원 서비스의 방향과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ed the Q methodology. The aim was to typify perceptions regarding the independent living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disability support workers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ology in detail. Data were collected from 30 activity support workers residing in Busan. Thirty statements related to the independent living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compassing factors influencing independence, the concept of independence, supportive environments for independence, methods of support for independence, and the role of activity support workers, were utilized. The research revealed four distinct perception typologies: 'Type emphasizing system building for independent support', 'Type demanding enhancement of independent capacity', ‘Type supporting independence’ and 'Type denying independence'. The comprehensive discussion of results based on the perception typologies of disability support workers was provided, along with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activity support services aimed at realizing the independence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welfa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가와의 관계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과 낙인대처의 이중매개효과
-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의 잠재유형 분석을 통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 및 지원 요구 탐색
-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관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식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장애인연금제도가 필수재 및 장애추가비용 지출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분석 활용
-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탐색 및 취업 차이 검증
-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성취기준 연구: 장애포괄적 기후대응 중심으로
-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 이해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
- 장애인 테마형 매입임대주택 사례 연구 : F 사회복지법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 동료지원쉼터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용자의 위기경험과 종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 장애인과 첨단기술: AI로의 이행
- 장애인일자리사업 이해관계자 관점에서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의 성에 대한 장애인복지종사자들의 인식유형과 성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