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의 잠재유형 분석을 통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 및 지원 요구 탐색
이용수 71
- 영문명
-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and Support Need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pplied to Analysis of Latent Types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민자영 김기룡 황지현 주영하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3호, 5~3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을 잠재유형으로 분류하고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 방법으로 중고령(40세 이상) 발달장애인과 청장년(40세 미만) 발달장애인의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에 대한 잠재유형을 분류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 잠재유형은 ‘높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53.3%)’, ‘낮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46.7%)’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청장년 발달장애인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 잠재유형은 ‘높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38.1%)’, ‘낮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33.1%)’, ‘중간 일상생활 능력 유형(28.8%)’으로 분류되었다. 중고령 발달장애인은 청장년 발달장애인보다 ‘낮은 일상생활 능력 유형’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고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이 낮은 일상생활 능력을 갖고 있는 중고령 발달장애인이 청장년 발달장애인보다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instrumental activies of daily living(IADL) skill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latent types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support needs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023 ‘Survey on the Work and Life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nalyze the latent profile to determine the latent types of IADL of middle-aged and older (over 40 years old) and young (under 40 years ol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tent types of IADL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high daily living ability type (53.3%)’ and ‘low daily living ability type (46.7%).’ Second, the latent types of IADL for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classified into ‘high daily living ability type (38.1%)’, ‘low daily living ability type (33.1%)’, and ‘medium daily living ability type (28.8%)’.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a higher rate of 'low daily living ability type' than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d low IADL showed more skills in daily life than you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suggests that you need help.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upport measures for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oposed.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가와의 관계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과 낙인대처의 이중매개효과
-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의 잠재유형 분석을 통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 및 지원 요구 탐색
-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관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식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장애인연금제도가 필수재 및 장애추가비용 지출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분석 활용
-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탐색 및 취업 차이 검증
-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성취기준 연구: 장애포괄적 기후대응 중심으로
-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 이해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
- 장애인 테마형 매입임대주택 사례 연구 : F 사회복지법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 동료지원쉼터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용자의 위기경험과 종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 장애인과 첨단기술: AI로의 이행
- 장애인일자리사업 이해관계자 관점에서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의 성에 대한 장애인복지종사자들의 인식유형과 성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