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성취기준 연구: 장애포괄적 기후대응 중심으로

이용수 21

영문명
A Study on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owards Inclusive Climate-Responsive Approach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채민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63호, 119~14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년 개정된 특수교육 기본교육 과정의 성취 기준을 기후 변화 대응 중심으로 조명하고, 특수교육에서 기후 변화 교육 대안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기후 변화 교육 내용 요소의 추출은 우정애와 남영숙(2012)의 내용 체계와 준거로 삼았으며 이후, 장애 포괄적 정책의 기후 대응 방향과의 일치성을 살펴 특수교육 교과과정 성취 기준에 포함된 핵심 기후 변화 대응을 분석한다. 장애 포괄적 기후정책 기후 대응과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삶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기후 변화 대응 지식은 취약한 장애인의 삶의 근본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성취 기준이 보강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 포괄적 기후 대응은 교육에서 장애인 삶의 가치를 평등하게 존중하는 데 중요하다. 셋째, 장애 학생들의 기후 변화 대응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높이기 위한 성취 기준은 기후 위기 대응 정책과 밀접하게 연계되어야 한다.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으로는, 첫째, 장애 포괄적 정책 기반의 교육 설계가 필요하다. 둘째, 교사들은 다양한 탐구 중심의 학습을 통해 교과과정 성취 기준을 상호보완적으로 배양하여 장애 학생 기후 대응의 실천을 도모해야 한다. 셋째, 장애 학생들이 미래의 시민사회 일원으로서 기후 위기 대응과 실천에 있어 정책을 제안하고 참여하는 태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제언은 특수교육에서의 기후 변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장애 포괄적인 정책의 연계를 제시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22, through the lens of climate change response, and deriving implications for alternative climate change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The extractio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content elements is based on the content system and criteria of Woo Jeong-ae and Nam Young-sook (2012). Subsequently, this study analyzes the core climate change response includ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alignment with disability-inclusive policy directions for climate respons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on the disability-inclusive climate policy and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on climate change response,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nhanc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to serve as fundamental education that can protect the lives of vulnerable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disability-inclusive climate response is crucial in education for equally respecting the value of the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ird, the achievement standards aimed at increasing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limate change response should be closely linked with climate crisis response polic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commendations are: Firs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design based on disability-inclusive policy. Second, teachers should foster the practice of climate response in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diverse inquiry-based learning that complements the curriculum's achievement standards. Third,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dopt an attitude of proposing and participating in policies for climate crisis response and practice as future members of civil society. These research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propose the linkage with disability-inclusive policies, serving as a foundational material for future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결과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민. (2024).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성취기준 연구: 장애포괄적 기후대응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 119-145

MLA

채민.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성취기준 연구: 장애포괄적 기후대응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2024): 119-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