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 이해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
이용수 181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er-Centered Service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Perceiv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이소영 강선경 서상형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3호, 147~1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 서비스 전달체계가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 됐음에도 불구하고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을 조명한 연구가 미비한 것에 주목하였다. 이에 사회통합이론과 수요자 중심이론에 근거하여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이해도와 삶의 질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남양주시 지역 장애인복지 전달체계 구축방안 연구”에 응답한 157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장애인의 삶의 질은 높아졌다. 둘째,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이 높을수록 장애인의 삶의 질이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에 대한 이해도와 삶의 질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은 부분매개를 하였다. 제시된 결과는 사회통합이론과 수요자 중심이론을 지지하는 바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장애인의 장애에 대한 이해와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을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lack of research on consumer-centered service use experiences despite the fact that the disability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has shifted from provider to consumer-centered. Therefore, based on social integration theory and consumer-centered theor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er-centered service use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non-disabled people's perceived disability and their quality of life.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were used to conduct a mediation test on 157 respondents who responded to a study on how to build a local welfare delivery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Namyangju.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higher the 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non-disabled people's perceived disability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using consumer-centered service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non-disabled people's perceived disability and their quality of life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experience in using consumer-centered services. The presented results support the social integration theory and the consumer-centered theory. Finally, the need for non-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provision of demand-centered services was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through the limitations of the future stud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가와의 관계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과 낙인대처의 이중매개효과
-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의 잠재유형 분석을 통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 및 지원 요구 탐색
-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관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식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장애인연금제도가 필수재 및 장애추가비용 지출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분석 활용
-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탐색 및 취업 차이 검증
-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성취기준 연구: 장애포괄적 기후대응 중심으로
-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 이해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
- 장애인 테마형 매입임대주택 사례 연구 : F 사회복지법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 동료지원쉼터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용자의 위기경험과 종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 장애인과 첨단기술: AI로의 이행
- 장애인일자리사업 이해관계자 관점에서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의 성에 대한 장애인복지종사자들의 인식유형과 성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