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탐색 및 취업 차이 검증
이용수 109
- 영문명
-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Daily Living Skill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loring Influencing Factors and Verifying Differences in Employment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김한솔 김나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3호, 91~11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을 유형화한 이후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취업과의 연관성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인 6차(2021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을 유형화하고, 3단계 접근법(three-step approach)을 활용하여 유형별 특성을 탐색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유형별 취업과의 연관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일상생활능력을 유형화한 결과 3가지 유형인 ‘저능력형 집단’, ‘상대적 중간능력형 집단’, ‘고능력형 집단’으로 도출되었다.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면 ‘저능력형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상대적 중간능력형 집단’과 비교한 결과, 국민기초생활 수급자가 아닌 것에 비해 수급자인 경우,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저능력형 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고능력형 집단’과 비교한 결과, 배우자가 있는 것에 비해 없는 경우, 국민기초생활 수급자가 아닌 것에 비해 수급자인 경우,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직업교육훈련을 받는 것에 비해 받지 않을수록 ‘저능력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상생활능력 유형별 취업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고능력형 집단’인 경우 취업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 향상을 위한 실천 및 정책적 함의에 대해 제언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daily living skill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verify the correlation with employment. To this end, data from the 6th (2021) seco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used to categorize the daily living abiliti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identified using a 3-step approach. We explored, and finally, the correlation with employment by type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aily living skill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low ability group’, ‘relative moderate ability group’, and ‘high ability group’.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low-ability group' was compared to the 'relatively moderate ability group' as the refer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ared to non-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recipients who were in poor health or facing financial hardship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within the 'low-ability group'. Next,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high ability group',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ose who have a spouse compared to those who do not have a spouse, those who are beneficiaries compared to those who are not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those with poorer health, and those who do not receiv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 it, ar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low ability group’. Last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employment by type of daily living ability,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was high in the ‘high ability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daily living skill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ollow-up research.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가와의 관계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과 낙인대처의 이중매개효과
- 수단적 일상생활 능력의 잠재유형 분석을 통한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특성 및 지원 요구 탐색
- 발달장애인의 자립에 관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인식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장애인연금제도가 필수재 및 장애추가비용 지출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분석 활용
-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탐색 및 취업 차이 검증
-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성취기준 연구: 장애포괄적 기후대응 중심으로
- 장애인이 인식한 비장애인의 장애 이해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수요자 중심서비스 이용 경험의 매개효과
- 장애인 테마형 매입임대주택 사례 연구 : F 사회복지법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 동료지원쉼터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용자의 위기경험과 종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 장애인과 첨단기술: AI로의 이행
- 장애인일자리사업 이해관계자 관점에서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 발달장애인의 성에 대한 장애인복지종사자들의 인식유형과 성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