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장애인 동료지원쉼터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용자의 위기경험과 종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26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f Peer Respite for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Focusing on Experiences of Service users and provider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저자명
배진영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인복지학』제63호, 203~246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건강 영역에서 당사자들의 필요에 의해, 당사자의 주도로 운영되고 있는 동료지원쉼터의 서비스 이용 및 제공 경험을 탐색하고자 일반적 질적연구 방법을 통하여 동료지원쉼터 이용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당사자들은 자신의 위기를 ‘복합적 고립으로 인한 정서적 고통’으로 인식 및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동료지원쉼터 이용 이전 당사자들이 위기 시 지원받은 경험은 ‘외부 잣대에 따른 권리 제한과 사회적 철회’로 요약할 수 있다. 셋째, 동료지원쉼터의 이용 경험은 ‘권리 중심의 연결된 안전지대’로 대표된다. 넷째, 쉼터를 퇴소한 이후에도 당사자들은 ‘동료연대체와 동행’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른 동료지원쉼터의 함의는 첫째, 위기를 타자의 관점에서 판단하지 않고 당사자가 스스로 자신의 주관적 관점에 따라 정의한다. 둘째, 정해진 서비스나 환경에 당사자가 맞추는 것이 아니라, 당사자의 선호와 욕구에 맞춘 형태로 지원을 제공한다. 셋째, 이를 통해 서비스 전반에 걸쳐 당사자는 종사자와 수평적인 관계에 있음을 느끼게 되고, 안전감과 신뢰로 점철되어 가는 관계는 당사자의 심리적 안정에 크게 기여한다. 넷째, 쉼터는 위기 환경과 자극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쉼터 기능을 병행한다. 다섯째, 쉼터는 입소를 기점으로 사회와 단절되는 곳이 아니라, 사회와 지속적으로 연결을 유지하고 심지어는 새로운 공동체로 접속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eer respites’ users and workers using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ervice use and provision of peer respites, which are operated by and for the needs of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in the mental health fiel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y perceived and experienced their crises as ‘emotional distress due to compounded isolation’; second, their experiences of receiving support during their crises prior to using peer respites could be summarized as ‘restriction of rights and social withdrawal based on external judgments’. Third, the experience of peer respites is characterized as a ‘rights-centered and connected safe zone’. Fourth, even after leaving the shelter, they are able to 'maintain their peer-solidarity'. The implications of peer respites are that, first, the crisis is not judged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but is defined by the person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own subjective perspective. Second, it provides support in a form that is tailored to the person's preferences and needs, rather than fitting them into a prescribed service or environment. Third, it allows the person to feel that they ar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the workers, and a relationship filled with a sense of safety and trust contributes greatly to the person's psychological stability. Fourth, the respite functions as a place of refuge, a place to escape from crisis and stimuli. Fifth, shelters are not places where people are disconnected from society upon entering, but rather provide opportunities to continue to connect with society and even access new communities.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진영. (2024).정신장애인 동료지원쉼터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용자의 위기경험과 종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 203-246

MLA

배진영. "정신장애인 동료지원쉼터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용자의 위기경험과 종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2024): 203-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