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Parental Perceptions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and Program Suitability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선용인
- 간행물 정보
-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제11권 제1호, 169~19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만 18세 이상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대학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영역별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그동안 평생교육을 경험해 본 성인발달장애인의 부모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 χ2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발달장애인의 부모는 대학기반 평생교육의 장점으로 ‘취업준비’, 교육형태는 ‘혼합방식’, 교육방식은 ‘전일제프로그램’, 학위여부는 ‘비학위제’, 학비부담은 ‘국가와 본인부담’, 우선준비사항은 ‘전문적인스텝’ 과 ‘적합한프로그램’이라고 하였다. 둘째, 대학기반 평생교육 영역별 적합도에서 기초문해 영역은 ‘생활문해’, 학력보완 영역은 ‘자연과학’, 직업능력 영역은 ‘현직무역량’, 문화예술 영역은 ‘스포츠여가’, 인문교양 영역은 ‘사회적역할’, 시민참여 영역은 ‘시민행동’, 비교과 영역은 ‘동아리활동’이 가장 적합한 분야로 나타났다.
제언: 본 연구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성인발달장애인이 계속해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학 차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에 대한 부모인식을 알아 보았고, 후속연구를 통해 대학기반 평생교육의 운영 및 교육과정에 대한 표준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18 or older to find out their perceptions of the operation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the suitability of each program area.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9 par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d experienced lifelong educ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χ2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ited the advantages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as ‘job preparation’, the type of education as ‘mixed method’, the education method as ‘full-time program’, the degree status as ‘non-degree’, the tuition burden as ‘government and individual burden’, and the priority preparation items as ‘professional staff’ and ‘appropriate program’. Second, in terms of the suitability of each area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the most suitable areas were ‘Life Literacy’ for the basic literacy area, ‘Natural Science’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supplementation area, ‘Current Job Competency’ for the vocational ability area, ‘Sports and Leisure’ for the culture and arts area, ‘Social Role’ for the liberal arts area, ‘Civic Behavior’ for the civic participation area, and ‘Club Activities’ for the non-curricular area. Accordingly, we investigated parental awareness of the operation of university-level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so that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can continue to receive education,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tandard for the operation and curriculum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through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사의 장애인 평생교육 인지정도 및 활용정도가 지적장애 학생의 장애인 평생교육 참여정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지원인력의 AAC 대화상대자 교육 프로그램 참여 및 적용 경험 탐색
- 느린 학습자의 자립지원을 위한 농업-예술 연계 직업전환 프로그램 성과분석
- 노인장기요양 및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비교를 통한 고령장애인 돌봄서비스 지원 연구: Gilbert & Specht 분석틀을 중심으로
- ADHD 아동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다층메타분석
-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 장애 유형별 장애인의 평생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 충분 정도의 잠재유형 도출과 참여도에 대한 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