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 충분 정도의 잠재유형 도출과 참여도에 대한 영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Identification of Latent Classes of Adequacy in Lifelong Education Sup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nalysis of Their Impact on Participation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진혁
- 간행물 정보
-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제11권 제1호, 255~28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의 충분 정도에 대한 잠재유형을 도출하고, 이러한 유형이 평생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장애인정책 특정성별영향평가: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정책을 중심으로(2022)' 연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지원의 충분 정도와 평생교육 참여 경험 등 설문에 모두 응답한 45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의 잠재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혼합분포군집분석(FMM)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의 충분 정도는 `정보 접근 충분형'(81.5%), `기관 인프라 충분형'(10.8%), `교육 자원 충분형'(7.7%)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장애인의 교육수준, 인터넷활용수준, 장애정도 등에 따라 평생교육 지원 충분 정도 유형은 차이가 있었다. 셋째, `기관 인프라 충분형'이 평생교육 참여 가능성을 유의미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장애인 평생교육 참여 제고를 위해서는 정보 제공 중심의 지원에서 벗어나 기관 인프라와 교육자원의 균형적 확충이 필요하며, 특히 장애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atent types in the sufficiency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 their impact on educational participation. Using data from the `Seoul Gender Impact Assessment on Disability Policy: Focusing on Lifelong Education Support (2022)', 454 respondents who completed surveys on support sufficiency and educational participation were analyzed. Finite Mixture Model (FMM)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latent types of support sufficiency. First, three types were identified: `Information Access Sufficient' (81.5%),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Sufficient' (10.8%), and `Educational Resources Sufficient' (7.7%).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lifelong education support sufficiency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level, internet usage level, and disability sever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ird, th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Sufficient' typ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ducational participation.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balanced enhancement of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nd educational resources beyond information-focused support, particularl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ailored support systems considering disability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사의 장애인 평생교육 인지정도 및 활용정도가 지적장애 학생의 장애인 평생교육 참여정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지원인력의 AAC 대화상대자 교육 프로그램 참여 및 적용 경험 탐색
- 느린 학습자의 자립지원을 위한 농업-예술 연계 직업전환 프로그램 성과분석
- 노인장기요양 및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비교를 통한 고령장애인 돌봄서비스 지원 연구: Gilbert & Specht 분석틀을 중심으로
- ADHD 아동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다층메타분석
-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 장애 유형별 장애인의 평생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 충분 정도의 잠재유형 도출과 참여도에 대한 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서비스 일 조직화: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적용
- 장년여성의 친부모 전담돌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전담돌봄의 맥락과 관계 변화 및 의미를 중심으로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