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서비스 일 조직화: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적용

이용수 0

영문명
Mental Health Service Work of North Korean Refugee Regional Adaptation Center: Applying Institutional Ethnography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저자명
허세미 양옥경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제19권 제1호, 5~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도적 문확기술지를 적용하여 ‘하나센터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서비스 일 과정은 어떠하며 어떻게 조정 및 조직화 되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하나센터 사회복지사 5명과 하나센터 사회복지사의 일과 관련된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며 일 지식을 중심으로 자료 및 관련 텍스트틑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초기전입 및 초기집중교육에서는 하나원으로부터 정신건강 정보를 구두로 전달받고 심리⋅정서 집단상담이 전문상담사의 역할로 구분되어 하나센터 사회복지사가 북한이탈주민의 정보를 수집하는데 한계가 발생한다. 통합안전지원에서는 위기대상자 관리목표 인원에 대한 실적을 채우기 위해 단순서비스를 제공할 수 밖에 없는 일과 전문상담사와의 업무 중첩으로 발생하는 사례담당자 선정에서의 혼란스러운 현장의 모습, 그리고 심리⋅정서지원 사업 카테고리 삭제에 따라 정신 혹은 심리 관련 상담 내용을 기록할 수 없는 일 과정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자원연계 과정에서 단순 모니터링 수준에 그치는 서비스와 정신건강 유관기관과의 연계체계 미흡의 일 과정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he work process of social workers providing mental health services at North Korean Refugee Regional Adaptation Cente?" by applying institutional ethnography. Data were collected focusing on work knowledge, and relevant texts were gathered. The analysis results categorized the work into initial settlement suppor, intensive early-stage education, and an integrated safety program. Within these programs, social workers assess the mental health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identify individuals in mental health crises, provide treatment support for those at risk, and connect them with community resources. During the analysis, challenges emerged due to role ambiguity and policy orientations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which impact efforts to support the community inte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is, measures to prevent information disconnection of North Korean Refugee, develop an operating model suitable for the organization, and supplement deficiencies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crisis targets were proposed.

목차

1. 서 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세미,양옥경. (2025).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서비스 일 조직화: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적용.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9 (1), 5-29

MLA

허세미,양옥경.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서비스 일 조직화: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적용."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9.1(2025): 5-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