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 유형별 장애인의 평생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y Disability Type
발행기관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저자명
허란
간행물 정보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제11권 제1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 유형별 평생교육 경험을 분석하여 장애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과 사회적 변화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 연구(Qualitative Case Study)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지체, 시각, 청각, 정신, 복합 장애를 가진 학습자 1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사례 간 비교 분석을 통해 장애 유형별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패턴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 학습자의 평생교육 경험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공통된 특성을 보였다. 첫째, 장애 학습자들은 경제적 부담, 학습 자료 부족, 물리적 접근성 문제로 인해 평생교육 참여에 어려움을 겪었다. 둘째, 맞춤형 교수법과 개별 지원의 부족으로 인해 학습 효과가 저해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 참여를 통해 직업 기회 확대, 심리적 안정, 사회적 관계 개선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 학습자의 학습권 보장과 사회적 자립을 위해 맞춤형 교육 정책 마련으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장애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강사 양성 프로그램 확대가 중요한 과제로 제시된다. 이를 통해 장애 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를 활성화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할 수 있는 교육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s across different disability types and explores the challenges faced by disabled learners and the resulting social change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includ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learners with physical, visual, auditory, intellect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followed by a cross-case comparative analysis. The findings highlight three key themes. First, learners faced difficulties due to financial burdens, lack of learning materials, and physical accessibility issues. Second, the absence of customized teaching methods and individualized support negatively affected learning outcomes. Third,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led to expanded employment opportunitie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mproved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tailored educational policies to ensure the learning rights and social independence of disabled learners. In particular, expanding instructor training programs that address their needs is essential. These efforts will foster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where disabled and non-disabled individuals can grow togeth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란. (2025).장애 유형별 장애인의 평생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11 (1), 1-27

MLA

허란. "장애 유형별 장애인의 평생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11.1(2025):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