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지원인력의 AAC 대화상대자 교육 프로그램 참여 및 적용 경험 탐색

이용수 2

영문명
Exploring the Participation and Implementation Experiences of Support Personnel in AAC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저자명
김서현 명교은 김경양 박은혜
간행물 정보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제11권 제1호, 59~8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이 지닌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특정 장애 유형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삶의 여러가지 영역에서 부정적 영향을 경험한다. 구어의 어려움을 보완하고 대체하는 AAC를 활용한 의사소통 지원은 필수적이며, 대화상대자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성인 장애인의 의사소통은 다양한 환경에서 일어나므로 체계적 지원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는 학령기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 중재와 가족 및 또래 중심의 대화상대자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AAC 대화상대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장애인 지원인력의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 장애인 지원인력의 의사소통 지원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AAC 대화상대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6명의 장애인 지원인력을 대상으로 총 4회의 개별 및 집단 심층 면담을 실시한 후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프로그램 참여 이전, 프로그램 참여 및 적용 경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8개의 대주제와 2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 이전에는 체계적인 의사소통 지원이 미비하여 상호작용이 부족하였고 이로 인한 장벽을 경험하였으나, AAC 대화상대자 프로그램을 계기로 개인 내적인 변화 뿐만 아니라 개인 간 소통이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관 차원, 지원 체계 마련 차원에서 보다 세부적이고 다양한 층위의 지원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AAC 대화상대자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고, 장애 성인 및 지원인력을 위한 의사소통지원체계 마련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communication difficulties faced b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not limited to specific disability types. Communication support using AAC is essential with the role of communication partners playing a crucial part. Although adult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ommunicate in diverse environments and require systematic support, previous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direct interventions and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for families and pe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upport personnel who participated in an AAC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program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strengthening their communication support competencies.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four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study identified eight major themes and 20 subthemes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improvements. Participation in the AAC communication partner program facilitated not only individual changes but also enhanced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dditionally, the need for more detailed and multi-layered support was identifi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ways to improve AAC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programs and highlights the necessity and direction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서현,명교은,김경양,박은혜. (2025).장애인 지원인력의 AAC 대화상대자 교육 프로그램 참여 및 적용 경험 탐색.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11 (1), 59-88

MLA

김서현,명교은,김경양,박은혜. "장애인 지원인력의 AAC 대화상대자 교육 프로그램 참여 및 적용 경험 탐색."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11.1(2025): 59-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