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Flash Technique의 집단 개입의 효과
이용수 114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Flash Technique’s group intervention for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s after COVID-19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변인옥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4호, 123~1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청소년들의 트라우마를 효과적으로 치유하기 위해 짧은 개입만으로도 효과가 입증된 증거 기반 치료인 Flash Technique(FT)의 집단 개입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FT 집단프로그램은 C지역의 B초등학교의 졸업을 앞둔 초등학교 6학년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회기에 15분씩 각 반의 특성에 따라 총 3회나 총 4회를 실시하였다. FT의 효과를 검증하기 학생들이 FT를 1회 실시할 때마다 ‘주관적 불편감(SUD)’을 4회씩 체크하였으며,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및 반복측정 분산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FT 집단프로그램을 1회만 참여하여도 SUD가 떨어지고, 3, 4회 참여하면 SUD가 더 빠르게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숫자 연산하기와 같은 공급기억이 있는 경우, SUD가 잘 안 떨어진다는 것과 FT 실시가 효과 있으려면 실시 횟수가 최소 5~6회가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트라우마의 종류 및 공급기억의 내용에 따라 집단을 구성하고 적합한 PEF를 적용한다면 단회성 개입만으로도 효과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이 모색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intervention using the Flash Technique (FT), an evidence-based treatment that has proven to be effective as a short-term intervention for youth trauma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FT group program targeted 161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o graduate from B Elementary School in Region C, and was conducted a total of 3 to 4 times for 15 minutes each, depending on class characteristic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FT, students' SUD (Subjective Unit of Disturbance) was checked four times in each session using FT,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peated-effects ANOVA.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UD was reduced even when FT was used only once as a group intervention, and SUD was confirmed to decrease more rapidly when FT was used 3 to 4 times. It has been also confirmed that feeder memory, such as counting, does not reduce SUD scores, and FT must be performed at least 5 to 6 times per session to be effecti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grouping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trauma and the contents of their feeder memories and using PEF, which allows them to focus, can be effective with just one intervention.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위축의 이중 매개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릿의 조절효과
-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Flash Technique의 집단 개입의 효과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사회불안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온라인 여가활동 부정경험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