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이용수 75
- 영문명
- The Effect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Aggression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박봉환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4호, 39~5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공격성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4차년도 중학생 2,275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과의존과 공격성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그릿과 공격성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그릿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공격성 수준을 낮추기 위한 보호·동기 요인으로 매개할 수 있는 그릿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자아존중감 증진 활동의 실천적 개입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mediating effects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ggression in adolescents. The data of 2,275 in the Year 4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ere analyzed. The analyzed data was subjected to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ggress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grit and Aggress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mediating effects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These results discussed practical intervention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promotion activities that Considering grit, can be mediated by trigger and protect factors to lower overus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level of aggression.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위축의 이중 매개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릿의 조절효과
-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Flash Technique의 집단 개입의 효과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사회불안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온라인 여가활동 부정경험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