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이용수 620
-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f Sociability Program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박미하 김영인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4호, 65~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사회성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와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의 학술지와 학위논문 14편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설계 유형, 프로그램 운영, 측정도구와 효과의 실행요소 5개 항목과 프로그램 개발여부,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근거, 목적, 처치개입요소의 내용요소 5개 항목이다. 분석 결과, 실행요소에서는 중고등학생으로 대상이 확대되고,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실험/통제집단 설계 적용과 경계선 지능 학생에 적합한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내용요소에서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고유한 특성과 요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매체를 확대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성의 근원요소가 되는 자기개념과 경계선 지능 학생의 학교적응에 목적을 둔 사회성 프로그램을 더 확대 개발하고 학교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and direction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ociability program of the future through systematic consideration of omestic literature on social program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14 domestic journals and theses in accordance with literature selection procedure. Analysis standards include 5 implementation elements such as study subjects, study method, type of study design, program operation, measurement tool and effect, and 5 contents elements of program development, program title, program basis,
purpose and treatment interven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necessity of application of experiment/control group design and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suitable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capable of expanding subjects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securing validity in the implementation elements. For contents elem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applies various media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demand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develop self concept which is a root element of sociability simultaneously with a sociability program in addition to active implementation in schools aiming at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from a long-term point of view.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위축의 이중 매개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릿의 조절효과
-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Flash Technique의 집단 개입의 효과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사회불안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온라인 여가활동 부정경험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