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릿의 조절효과
이용수 262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Grit on the Impact of social stigma on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서정화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4호, 51~6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릿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30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우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낙인감과 그릿, 우울과 그릿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이 조절변인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밖 청소년들이 인지한 사회적 낙인감으로 인한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의 취약성을 보완하는 것과 더불어 그릿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grit on the impact of social stigma perceived by out-of-school youth on depression. For this purpose, 302 out-of-school youth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in out-of-school you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tigma and grit, and depression and grit. Second, gr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effect of social stigma on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youth.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caused by social stigma perceived by out-of-school youth,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positive emotions such as grit in addition to compensating for vulnerabiliti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위축의 이중 매개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릿의 조절효과
-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Flash Technique의 집단 개입의 효과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사회불안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온라인 여가활동 부정경험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