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사회불안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96
- 영문명
- The Effect of Short-Term Mindfulness-Based Group Therapy on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홍영근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4호, 85~10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사회불안,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사회불안성향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부산지역의 OO사이버대학교 상담센터를 통해 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공지하여 신청자 16명을 모집하였고, 이들 중 8명은 실험집단에 배정하고, 8명은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 배정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5주 동안 1주간 1회 2시간씩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해 집단상담실시전 사전검사, 실시후 사후검사, 집단상담을 종료하고, 5주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으로 인해 마음챙김이 변화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박성현의 마음챙김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존감 및 사회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Rogenberg의 자존감 척도와 Mattick과 Clarke의 사회공포척도, Watson과 Freind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비모수검정방법의 하나인 일반화 추정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으로 인해 마음챙김의 정도 및 자존감의 정도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불안성향의 개선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ort-term mindfulness-based group therapy (SMGT) on social anxiety and self-esteem in adults. The study was conducted in Busan, South Korea, and recruited 16 adults through the counseling center at OO Universit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5 weeks of weekly 2-hour SMGT.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completed pre-tests, post-tests, and follow-up tests at baseline,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5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e Mindfullness Scale(MS) was used to measure mindfulness,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was used to measure self-esteem, the Social Phobia Inventory (SPIN) was used to measure social anxiety, an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FNE) was used to measure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MGT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indfulness and self-estee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cial anxiety. The study'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t the end.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과다사용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위축의 이중 매개효과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릿의 조절효과
-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Flash Technique의 집단 개입의 효과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사회불안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온라인 여가활동 부정경험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